(표=CEO스코어 제공 / 단위:억 원 )
삼성 등 주요 그룹들의 부진으로 한국경제가 역성장을 기록했다.
30대 그룹 중에서도 특히 상위 10대 그룹의 부가가치 총액 감소율이 두드러졌다.
21일 CEO스코어가 사업보고서를 제출한 30대 그룹 계열사 293곳의 지난해 부가가치 창출액을 전수 조사한 결과 총 207조6천359억원으로 전년 대비 0.6%(1조2천898억원)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GDP는 1천426조5천403억원으로 3.3%(45조7천77억원) 증가했다.
30대 그룹의 부가가치 총액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5.1%에서 14.6%로 0.5%포인트나 떨어졌다.
10대 그룹이 차지하는 비중도 12.7%에서 12.1%로, 4대 그룹 비중도 10.3%에서 10.1%로 각각 낮아졌다.
부가가치 총액은 경제주체인 가계, 기업, 정부가 매 단계 생산한 부가가치의 합계액으로 경상이익, 인건비, 순금융비용, 임차료, 세금공과금, 상각비 등 6개 항목을 합쳐서 계산한 것이다.
◇ 삼성전자만 GDP 0.5% 끌어내렸다10대 그룹의 부가가치 총액은 173조1천570억원으로 0.9% 감소했으며 금액으로는 1조5천916억이나 줄어 30대 그룹 전체 감소액(1조2천898억원)보다 많았다.
이는 삼성, 포스코, GS, 현대중공업, 한진 등 5개 그룹의 부가가치가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삼성의 부가가치 총액은 67조9천163억원으로 2013년보다 3조9천927억원(5.6%) 감소했고 현대중공업도 2조6천682억원(65.7%), GS 4천267억원(11.0%), 포스코 2천256억원(2.8%), 한진이 1천239억원(2.9%) 각각 줄었다.
결국 5개 그룹에서 총 7조4천371억원의 부가가치가 날아가 버린 셈이다.
지난해 국내 30대 그룹의 부가가치 총액은 207조원으로 전년보다 0.6%나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으며 같은 기간 국내총생산(GDP)은 3.3%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GDP의 15%를 차지하는 30대 그룹의 부가가치 총액이 역성장을 기록해 GDP 증가율을 오히려 주저앉히는 효과를 낸 것이다.
{RELNEWS:right}재계 1위 삼성을 비롯해 포스코, GS, 현대중공업, 한진 등 주요 그룹의 부가가치 창출액이 줄줄이 마이너스를 기록했고 지난해 실적 하강국면에 직면했던 삼성전자의 부진은 GDP를 0.5%포인트 끌어내리는 결과로 나타났다.
10대 그룹 밖에서는 동부가 가장 많은 1조4천187억원(94.3%)이 감소했고 지난해 구조조정 여파로 계열사가 대거 줄어들면서 큰폭의 감소를 기록했다.
그룹별로는 삼성그룹의 부가가치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8%로 가장 높았고 기업별로는 지난해 삼성전자의 부가가치가 38조4천967억원으로 전년 대비 6조3천612억원(14.2%)이나 급감했다.
반면 부가가치가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SK하이닉스로 2조409억원(28.3%)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