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빅토리아 공원 인근에서 '범죄인 인도 법안'(일명 송환법)에 반대하는 시민들이 행진을 벌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한때 1,2백만 시위대 물결…송환법 좌절시켰지만 나머지는 요지부동
지난해 6월 9일 홍콩에서는 주최측 추산 103만명이 참여하는 '범죄인 인도법안' 반대시위가 열렸다.
5년전인 2014년에 행정장관 직선제 등을 요구하며 벌였던 우산혁명 당시의 시위 참여 인원을 능가하는 이 날 시위를 시작으로 전세계의 집중적인 관심을 받으며 6개월 동안 시위가 이어졌다.
결국 홍콩시민들이 요구했던 5대 요구 가운데 송환법 반대는 이루어졌지만 행정장관 직선제 등 나머지 요구는 쟁취해 내지 못했다.
송환법 반대시위에 힘입어 지난해 11월 구의회 선거에서 야권이 18개 지역구 가운데 17개를 석권하는 역사적인 승리를 거두기는 했다.
그러나 지방선거는 베이징 중앙정부가 이른바 홍콩 범민주 진영에 준 하나의 작은 선물이자 미끼에 불과했다.
지방선거 20여 일 전인 11월 4일 시진핑 주석은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을 상하이로 불러 “폭력 행위를 법에 따라 진압하고 처벌하라”는 지침을 내렸다.
시 주석의 지침 이후 홍콩 지방정부와 홍콩 경찰은 단호해졌다. 선거 일주일여 앞두고 홍콩 이공대에 고립된 시위대를 사실상 고사 시켰다.
홍콩의 시위는 2020년 1월 1일 새해 첫집회에 100만 명이 참여하는 등 해를 넘겨서도 지속되는듯 했지만 코로나19라는 복병을 만났다.
◇ 보안법 폭탄 던진 中 … 미국은 말 폭탄 몇개만
(일러스트=연합뉴스)
중국에서 발생해 전세계로 퍼진 코로나19로 인해 5개월을 아무 것도 못했다.
2003년 사스 공포를 잊지 못하는 홍콩에서는 코로나19의 징후가 보이자 유난을 떤다 싶을 정도로 우한에서 퍼지고 있던 코로나19 바이러스에 신경을 곤두세웠다.
하지만 홍콩을 겨냥한 것은 아니었지만 중국 정부의 초동대응 실패와 비공개, 비밀주의가 코로나19의 전세계적 확산을 불러왔다.
코로나19는 세계 각국과 사람들에게 이루 말할 수 없는 손실과 고통, 불행을 안겼지만 홍콩 시위의 예봉을 꺾어놓은 측면에서 보면 홍콩도 최대 피해자라고 할 수 있다.
코로나19가 없었더도 지난해와 같은 홍콩 민주화 시위가 가능했을 것으로 보는 것은 무리다.
지난달 전국인민대표대회 개막 전날 공식화된 홍콩보안법 도입 방침은 하루 이틀 준비한 게 아니라 시위현장에서 오성홍기가 훼손되는 사건이 벌어진 이후 베이징 지도부가 인내심을 갖고 차근차근 준비해온 결과로 보이기 때문이다.
홍콩 보안법 카드는 하루 하루 자신들의 요구를 외치기에 바빴던 홍콩의 젊은이들은 물론 미국 등 국제사회도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강력한 폭탄이었다.
미국은 사전에 중국 측에 어떤 경고 메시지도 보내지 못한 채 보안법 도입이 현실화되자 말 폭탄만 몇 번 터뜨렸을 뿐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
◇ "더 이상 할 수 있는게 없어…희망도 없어"
지난 4일 저녁 홍콩의 빅토리아 공원에서 중국의 6·4 톈안먼(天安門) 민주화 시위 31주년을 맞아 열린 추모 집회에서 한 시민이 '하늘이 중국 공산당을 멸할 것이다(天滅中共)'라는 손팻말을 들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보안법 도입에 항의해 홍콩에서 지난달 27일에 벌어진 시위에 참여했던 17세의 학생 키티 펑.
그녀는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인터뷰에서 "우리는 너무 오랫동안 고생했지만 아무것도 달성하지 못했다. 이전과 달리 이제 더 이상 할 수 있는 게 없다. 희망이 없다"고 절망적인 심경을 내비쳤다.
이름을 톰으로만 써달라고 한 20대 시위 참여자는 홍콩 정부가 보안법 도입을 추진할 가능성은 생각했지만 베이징이 직접 나서리라는 생각을 한 사람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홍콩에서는 송환법 반대시위 이후 1년동안 8981명이 경찰에 체포되어 1749명이 재판에 넘겨졌다. 이 중 100여 명이 유죄 판결을 받았고 적어도 13명은 최대 4년의 징역형에 처해졌다.
홍콩에서는 앞으로도 보안법에 반대하는 시위가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이지만 보안법에 대한 두려움, 잦은 시위에 대한 피로감 등이 낙관적인 전망을 압도하고 있다.
외부 지원도 기대하기 힘들다. 민주 진영의 리더, 세계의 경찰로 불리던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리더십이 흔들리는 데다 11월 대선을 앞두고 있다.
다른 나라들도 경제적 상호 의존성이 강화된 중국의 눈치를 봐야한다. 일본이 홍콩보안법 도입에 우려 입장을 전달했지만 미국 영국 호주 캐나다가 공동으로 발표한 성명에서 빠진 것만 봐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