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연합뉴스남북이 13개월만에 통신선을 전격 복원하기까지는 십수차례에 걸친 정상간의 친서 교환이 바탕이 됐다. 정부가 이미 지난해부터 남북 대화의 계기를 모색하며 물밑에서 공을 들였던 상황에서 오랜 침묵을 깨고 북한의 '화답'을 받은 것이다.
이에 따라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사실상 마지막 퍼포먼스가 성사될지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임기가 얼마 남지 않은 문 대통령과 경제난에 직면한 김 위원장이 또다시 직접 소통을 통해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청와대는 현재 대외적으로는 남북정상회담 등에 대해 '신중모드'다. 통신선 복원 이후의 스텝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언급을 피하면서, 간결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로이터 통신이 우리측 관계자 발로 "남북이 정상회담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고 보도한 것에 대해 청와대는 즉각 "사실이 아니다"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자칫 북한이 생각하고 있는 속도보다 우리측이 앞서 나갈 경우 오히려 관계 개선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최근 청와대 국가안보실에서는 내부적으로 메시지 관리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한다.
하지만 준비는 어느때보다 분주하게 이뤄지고 있다. 안보실은 이미 친서가 오가기 시작한 수개월 전부터 여러가지 시나리오를 준비하면서 코로나19 상황에 대비한 소통방식을 고민해 왔다. 통신선 복원으로 한 발짝 스텝을 뗀 만큼 미국 정부와 소통해가면서 다음 단계를 모색하고 있다.
연합뉴스변수는 코로나19다. 북한은 바이러스 전파를 우려해 중국이 지원하는 쌀도 받지 않을 정도로 방역에 극도로 예민하다.
이때문에 외교안보 전문가들은 상당한 인원을 대동할 수밖에 없는 '대면' 정상회담의 가능성을 다소 낮게 보고 있다. 대북 특사 카드도 마찬가지로, 대면 접촉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현실성이 낮은 상태라고 청와대가 인정하기도 했다.
현재 가장 유력하게 떠오르는 대안은 화상이나 통화로 두 정상이 간접적으로 만나는 방식이다. 핫라인 연결을 통한 약식 전화가 아니라 실질적인 대화가 오갈 수 있는 화상 정상회담 형태를 우리 측에서는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상들끼리 화상 만남을 추진하기 전에 여러 실무적인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화상회의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도 하나의 사전작업이 될 수 있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도 28일 MBC 라디오에 나와 "좀 더 자유롭게 대화하기 위한 화상회의 시스템 구축도 염두에 둘 수 있다"면서 가능성을 열어뒀다.
중요한 것은 다음 스텝으로 나아가기 위한 청와대의 발걸음이 분주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여러 단계를 거쳐서 최종적으로는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 두 정상의 마지막 퍼포먼스가 언제, 어떻게 성사되는지 여부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