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윤석열 "김건희 등판계획 처음부터 없었다…대통령 부인, 그냥 가족에 불과"

윤석열 "김건희 등판계획 처음부터 없었다…대통령 부인, 그냥 가족에 불과"

핵심요약

윤석열 "제 처는 정치하는 것 극도로 싫어해"
"영부인이라는 말 쓰지 말자, 제2부속실 폐지가 맞다고 봐"
지난 7일 "적절한 시점에 활동 않겠나" 입장에서 변화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22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국민의힘 당사로 출근하고 있다. 박종민 기자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22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국민의힘 당사로 출근하고 있다. 박종민 기자국민의힘 윤석열 대선후보는 22일 대선 기간 부인 김건희씨의 등판 계획에 대해 "처음부터 없었다"고 말했다.

윤 후보는 이날 공개된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영부인이라는 말은 쓰지 말자. (아내의 선거 중 등판) 계획은 처음부터 없었다. 제 처는 정치하는 걸 극도로 싫어했다"고 말했다. 또 윤 후보는 김씨가 자신이 위원장을 맡고 있는 "'약자와의 동행' 활동에 함께하는 것도 썩 내켜 하지 않았다"며 "필요하면 나올 수도 있지만 봉사활동을 한다면 그에 대한 소감이 아니라 사건을 물을 게 뻔한데 본인이 그걸 하고 싶겠느냐"고 반문했다.


지난 7일 윤 후보는 김씨의 공개 활동 여부에 대해 "적절한 시점에 국민들 앞에 나와서 활동하지 않겠나"라고 말한 바 있는데, 입장이 변한 셈이다. 허위 이력 의혹 등 최근 일련의 상황 변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윤 후보는 인터뷰에서 '부인과 주요 의사결정이나 정치적 결정을 상의하느냐'는 질문엔 "잘 안 한다"며 "나하고 그런 이야길 안하기 때문에 섭섭하게 생각할 때도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어 "내가 당에 온 지 얼마 안 돼 정치인들을 잘 모르는데 아내도 정치권에 아는 사람이 없다. 내 정치적 활동과 관련한 대화를 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정치 관련 영역에서 김씨의 역할에 선을 그었다.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후보의 부인 김건희씨. 연합뉴스국민의힘 윤석열 대선후보의 부인 김건희씨. 연합뉴스
또 윤 후보는 청와대에서 대통령 배우자를 담당하는 제2부속실을 폐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그는 "폐지하는 게 맞다고 본다. 대통령 부인은 그냥 가족에 불과하다"며 "(대통령 배우자라는) 법 외적인 지위를 관행화시키는 건 맞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다만, 제2부속실 폐지 방침은 선대위 차원에서 깊게 논의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선대위 원희룡 정책총괄본부장은 이날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저희들이 후보 생각이 저런 게 있으시구나 참고는 하겠지만 논의를 하거나 공약으로 결정된 바는 전혀 없다"며 "후보가 이야기 했다고 바로 공약이 되는 것은 아니고, 후보와 선대위가 최소한의 의논과 절차는 거쳐야 한다"고 말했다.

윤 후보는 청와대 인원을 30%정도 감축하고, 수석비서관 자리를 없애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한편, 윤 후보는 이준석 대표가 선대위 직책을 내려놓는 등 분란이 발생한 것에 대해서는 답답함을 표현하기도 했다. 그는 "나한테 불만이 있으면 후보와 당 대표 간 관계인데 얼마든지 얘기할 수 있지 않느냐"며 "(내가) 이 당을 장악하겠다는 생각이 있는 것도 아니고 선대위를 장악해서 어떻게 하겠다는 것도 아니다"라고 언급했다.

0

0

전체 댓글 8

새로고침
  • NAVER고아라2024-02-08 12:36:50신고

    추천1비추천1

    다른 사람이 명품백을 받았으면 당장 감옥 보내라 할 것이다. 지 마누라 감싸는게 공정과 상식이구나. 그래도 좋다고 주둥아리 나불대는 국민의 힘 당 똘마니들이 더 가관이구나. 이번 선거에서 야당이 200석 이상 당선되어야 탄핵할 수 있음을 알라

    답글 달기

  • NAVER어이없을무2024-02-08 08:19:35신고

    추천1비추천1

    앞으로 대한민국에선 뇌물받아서 걸리면 아쉽다 한마디면 해결되는건가? ㅋㅋㅋㅋㅋ

    답글 달기

  • NAVERkikj2024-02-08 08:19:07신고

    추천1비추천1

    거짓말하고 대통령 된 선례,,,
    앞으로 거짓말해도 된다
    ㅡㅡ

    답글 달기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