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 최태원 회장이 지난 19일 '대한상의 제주포럼' 일정 중에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AI 인프라스트럭처' 구축 필요성 등을 역설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 제공SK그룹 최태원 회장이 미래 먹거리로 주목받는 AI(인공지능) 국가 간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국내 'AI 인프라스트럭처' 구축 필요성을 역설했다.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인 최태원 회장은 지난 19일 '대한상의 제주포럼' 일정 중에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대한민국 전략과 관련해 선제적으로 해야 할 일로 AI 인프라스트럭처 구축을 꼽았다.
최태원 회장은 "일단 대한민국은 AI 인프라스트럭처를 더 만들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AI 인프라스트럭처가 뒤처지게 되면 세계적인 AI 빅테크 등의 선택을 받지 못해 글로벌 AI 생태계에서 우리나라는 공동화하고 다른 데 종속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지금 우리나라 경제가 어려운 상황이지만, 'AI 데이터센터'부터 AI에 관계된 인프라스트럭처를 상당히 많이 만들어야 한다는 게 최태원 회장 지적이다.
이를 통해 마이크로소프트나 오픈 AI, 아마존, 구글 등 글로벌 AI 빅테크가 우리나라에 들어와 우리 데이터센터를 이용하게 만들자는 전략이다.
최 회장은 또, AI 데이터센터 등을 일반 시민과 학생들에게 개방할 필요성도 주창했다.
"학교 인프라스트럭처 만들 듯 AI 인프라스트럭처 만들 때"
이들이 AI 인프라스트럭처 연산 혹은 모델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 나중에는 AI 개인화 모델까지 스스로 만들 수 있는 상황이 될 것으로 최 회장은 내다봤다.
최 회장은 "우리가 학교 시스템, 학교 인프라스트럭처를 만들 듯 지금이 AI 인프라스트럭처를 만들어야 할 때가 아닐까 생각한다"고 밝혔다.
특히, 최 회장은 "우리가 AI 일상화에 속도를 더하면 많은 'AI 워리어(warrior)' 즉 'AI 전사'들을 기를 것이고 그 전사들이 결국 대한민국 성장을 이끌 좋은 씨앗과 묘목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AI 전사를 단순히 AI를 잘하는 '엔지니어'를 넘어 AI 시대에 적응해 그 안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등 길을 여는 사람들로 정의했다.
"조속한 데이터센터 등 AI 인프라스트럭처 구축과 AI 전사 양성은 AI에 대처하는 대한민국 전략으로서 전혀 후회할 일이 아닐 것"이라고 최 회장은 거듭 강조했다.
이와 함께 최 회장은 반도체 시설 투자에 대한 정부의 과감한 지원도 요청했다.
기술 혁신이 한계에 다다르면서 반도체 효율을 높이는 데서 '설비 증설'이 차지하는 비중이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커졌다는 현실을 고려해 달라는 것이다.
"과격하고 규모 큰 반도체 투자 세제 지원만으론 감당 안돼"
최 회장에 따르면 과거에는 반도체 효율 즉 '빗그로스'를 높이는 문제를 R&D 90%와 설비 증설 10% 정도 비중으로 해결했는데, 지금은 50:50으로 설비 증설 비중이 대폭 확대됐다.
"그러다 보니 시장 요구에 맞춰 빗그로스를 올리려면 반도체 생산 시설인 '팹(fab)'을 계속 더 지어야 하는데 팹 하나당 대략 20조 원이 들어간다"고 최 회장은 전했다.
SK하이닉스 주력 품목으로, AI 칩에 들어가는 HBM(고대역폭메모리) 팹은 건설 비용이 더 많이 소요된다는 설명이다.
최 회장은 "요구되는 투자가 과격하고 규모가 너무 크다"며 "반도체로 지금 아무리 돈을 많이 벌어도 번 돈보다 더 투자를 해야 하는 현실"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이 문제를 풀기 위해 적극적인 지원을 하지 않고 '알아서 혼자 해라'라고 한다면 반도체 산업은 몹시 어려운 지경에 빠질 수밖에 없다"고 최 회장은 주장했다.
최 회장은 "그래서 반도체 설비 투자를 다른 나라들도 지원하는 거"라며 "지금 상황은 세제 혜택 형태로만 갖고서는 감당이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현재 반도체 산업 지원 초점을 세제 혜택에 맞추고 있지만, 다른 주요 반도체 강국들처럼 대규모 보조금 등 직접 자금 지원에 적극 나서달라는 요구로 해석된다.
한편, 최 회장은 재계의 또 다른 관심사인 상속세법 논란과 관련해 획일적인 세율 인하보다는 기업 특성과 상속 성격 등 '디테일'을 반영하는 제도 개선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