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역대 최악 산불…"급격한 고온·이례적 강풍에 빠르게 확산"

역대 최악 산불…"급격한 고온·이례적 강풍에 빠르게 확산"

전문가들 "급격한 고온 현상으로 영남권 건조 심화"
"유례 없는 강풍 불어…산불 빠르게 확산" 분석
"기후변화 고려한 재난 대응체계 필요" 제언
대부분 산불 실화로 발생…"교육·처벌 강화해야"

울산시 울주군 온양읍 산불 닷새째인 26일 불길이 산림을 태우고 있다. 연합뉴스울산시 울주군 온양읍 산불 닷새째인 26일 불길이 산림을 태우고 있다. 연합뉴스
경북 의성과 경남 산청 등에서 산불로 피해가 점점 커지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급격한 고온 현상과 이례적 강풍 등 '기후 변화'를 불이 빠르게 번진 원인으로 꼽았다.

서재철 녹색연합 전문위원은 "지난 겨울철 눈·비가 적게 내린 영남 지역을 중심으로 최근 7~8일 사이 나타난 고온 현상이 대기 건조를 더욱 심화시켰다"고 분석했다.

이어 "과거에는 강원 영동 지역이 봄철에 강한 바람이 부는 지역이었지만, 영남 지역에 유례 없는 강한 바람이 불어 닥치면서 산불이 손 쓸 수 없이 빠르고 광범위하게 확산했다"며 "서 있기도 힘들 정도의 강풍이 곳곳에 불면서 연기가 사방으로 퍼져나갔고, 연기 사이 불티가 함께 날아갔다. 우박처럼 불씨가 떨어지면서 불이 빠르게 번진 상황"이라고 말했다.

서 위원은 "기후위기 재난은 인간이 예측하는 것보다 훨씬 더 빠른 속도로 훨씬 강력하게 다가온다"며 "행정안전부를 비롯해 정부 각 부처가 급격하게 다가온 기후위기로 인한 재난 대응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북 영덕군 지품면 수암리 수암마을에서 주민이 산불에 탄 자신의 집을 보고 있다. 김대기 기자 경북 영덕군 지품면 수암리 수암마을에서 주민이 산불에 탄 자신의 집을 보고 있다. 김대기 기자 
박필선 서울대 산림과학부 교수는 "산불은 눈이 녹는 시기와도 연관이 큰데, 기후변화 탓에 눈이 오는 시기와 건조해지면서 산불이 잘 나는 시기가 급격하게 요동치고 있다"며 "예전에는 바람이 없던 지역에서 바람이 강하게 부는 등 기후 변화로 산림 환경도 급격히 변화하는 만큼, 집중적인 모니터링과 연구를 통해 예방 정책으로 연결시킬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나라 산불은 마른 번개로 발화하는 미국 등 다른 나라와 달리 대부분 '실화'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며 "불이 날 수 있는 행위를 더욱 구체적으로 금지하고 강하게 교육할 필요가 있고, 방화범에 대해서는 현재보다 처벌을 더 강화해 경각심을 줘야 한다"고 말했다.

최승희 생명의숲 사무처장 역시 "실화로 인해 대형 산불로 번지고 있는 만큼 그 무엇보다도 입산자들이 화기류를 아예 들고 갈 수 없게 하거나 소각을 전면 금지하는 것이 급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또 "대형 산불 피해를 선제적으로 예방하기 위해 헬기로 미리 산에 물을 뿌리고 문화재 주변에 스프링클러를 설치한다거나, 민가 주변으로는 비교적 확산 속도를 늦춰주는 활엽수림을 조성하는 등 적극적이고 획기적인 방법도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제안했다.

영남지역을 덮친 대형 산불로 26일 현재까지 영덕 7명, 안동 4명 등 모두 20명이 목숨을 잃었다. 또 경북 의성군의 천년고찰 고운사가 전소되는 등 문화재도 소실되는 피해를 입었다.

지난 22일 경북 의성군에서 발생한 산불은 안동시와 청송군, 영양군 등 경북 북부지방과 동해안으로 급속히 확산하고 있다. 앞서 지난 21일 경남 산청에서 발생해 하동으로 번진 불은 현재 지리산국립공원까지 확대한 상황이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0

전체 댓글 1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