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대한의사협회(의협)가 정부와 국회를 향해 의료정상화를 위한 대화 테이블을 만들자고 제안했다.
의협 김성근 대변인은 8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긴급 현안 브리핑을 열고 "정부와 국회에 의료정상화를 위한 의료계의 제안을 논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줄 것을 정식으로 요청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동안 제기된 요구사항과 제안 등을 논의하고 결정하는 테이블이 마련된다면 이른 시간 안에 의료의 정상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의료 정상화는) 차기 정부가 들어서기 전 현 정부가 해결해야 하는 과제"라며 "정부와 국회가 제대로 결정권을 갖고 대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의협은 대화 테이블이 마련되면 의대생과 전공의들도 참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이 대화 참여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김 대변인은 "무리한 정책을 추진했던 윤 전 대통령이 탄핵당하면서 학생들과 전공의들도 그간 입었던 상처들이 (탄핵의 결과로) 많이 위로받은 것으로 평가한다"며 "학생들과 전공의도 그동안 다친 마음을 열고 대화에 참여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다만 기존 정부가 운영하는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에 대해서는 의료계의 의견을 내기가 어렵다고 판단했다.
김 대변인은 "(의개특위는) 제대로 의견 개진이 되기 힘든 구조에서 구색을 맞추기 위해 참여하는 것을 거부한 것"이라며 "가장 첫 번째로 내세운 의료인력 확충 중 의대정원 증원 과제부터가 근거가 부족하고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밀어붙이는 식이었기에 다른 과제들을 바라보는 시각도 같을 것이라는 판단이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의료개혁과제는 지속가능한 논의체에서 논의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류영주 기자또 의협은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확정해 불확실성을 제거해달라고 요청했다.
김 대변인은 "각 대학의 상황을 보면 도저히 교육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곳들이 있다"며 "교육부는 해당 대학들의 자세한 실사를 거쳐 제대로 교육이 가능한가를 확인해 달라고 요청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교육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모집인원을 줄여주시기를 요청한다"며 "의대 '모집 인원'이 아니라 '정원'을 3058명으로 다시 되돌려놓고 (논의를) 진행하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의협은 오는 13일 오후 의협 전국대표자대회 및 대선기획본부 출범식을 열고, 20일 오후에는 서울 중구 숭례문 일대에서 전국의사궐기대회를 개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