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로 두번째 졸업생을 배출한 자율형 사립고의 약진으로 대학에 입학한 일반고 졸업생의 비율이 줄었다.
특히 서울대, 연세대, 성균관대 등 서울의 주요 대학은 일반고 출신 신입생이 총 입학자 수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4년제 일반대학 174개교의 주요 공시항목 13개를 분석한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분석 결과를 보면 올 3월 대학 입학자 수 가운데 일반고 출신의 비율은 78.0%로 지난해보다 1.4%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올해 두번째 졸업생을 배출한 자사고, 자율형 공립고 등 자율고 출신이 대학입시에서 선전하면서 전체 신입생에서 자치하는 비율이 7.5%에서 9.2%로 1.7%포인트 증가했기 때문이다.
관련 기사
같은 기간 특수목적고 출신은 4.5%로 작년(4.4%)과 비슷한 비율을 유지했고, 특성화고는 0.2%포인트 내린 4.2%를 기록했다.
자율고 강세는 국·공립대와 수도권에서 두드러졌다.
자율고 출신 비율은 국·공립대(26개교)의 경우 1년 사이 8.0%에서 11.0%로 3.0%포인트나 올랐다. 사립대(48개교)는 7.4%에서 8.8%로 1.4%포인트 높아졌다.
수도권(66개교)에서 자율고 출신은 지난해 7.7%에서 올해 9.8%로 2.1%포인트 오른 반면 같은 기간 비(非)수도권(107개교)에서는 7.4%에서 8.9%로 1.5%포인트 증가해 수도권보다 증가 폭이 상대적으로 작았다.
서울의 주요 대학에 한정하면 일반고의 약세는 한층 심각하다.
주요 대학 14개교의 올해 신입생 중 일반고 출신은 평균 63.0%로 수도권 평균의 72.5%보다 많이 낮았다.
특히 서울대(46.7%), 성균관대(49.5%), 연세대(49.9%)는 처음으로 일반고 출신이 전체 신입생의 절반 아래로 떨어졌다. 서강대(52.7%), 한양대(54.3%), 이화여대(55.7%), 고려대(58.2%)도 일반고 출신이 절반 남짓에 불과했다.
작년과 비교하면 서울대(-6.0%), 경희대(-5.6%), 한양대(-2.7%), 중앙대(-2.6%), 성균관대(-1.8%)에서 일반고 하락세가 컸다.
이들 14개 대학에서 자율고 출신은 같은 기간 11.0%에서 13.2%로 늘었다.
서울대(20.3%), 서강대(18.2%), 연세대(16.0%), 성균관대(15.7%), 고려대(15.7%)에서 자율고 출신 비율이 높았다.
특목고 출신은 지난해 15.5%에서 올해 14.1%로 감소했지만 이화여대(26.2%), 서강대(24.0%), 서울대(23.8%), 성균관대(21.7%), 연세대(21.5%)에서 강세를 떨쳤다.
특히 자율고와 특목고 출신을 더한 비율이 서울대가 44.1%로 일반고 비율(46.7%)에 육박했다.
지난해 기준 전체 고등학생 중 일반고 재학생의 비율이 71.6%인데 반해 특목고(3.5%)와 자율고(7.9%)를 더한 비율이 11.4%인 것과 비교하면 서울대에서 일반고 출신의 몰락이 현저했다.
2014학년도 기회균형 전형으로 선발한 비율은 6.81%로 작년(6.80%)과 비슷했다. 기초생활 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이 지난해와 비교해 0.13%포인트 오른 1.26%를 기록했고 농어촌 지역 학생은 3.01%로 작년과 큰 차이가 없었다.
대학 강사의 시간당 강의료는 올해 52만6천원으로 작년보다 3.54% 오르며 인상 추세를 이어갔다. 국·공립대가 69만5천원으로 사립대(47만8천원)보다 높았다.
2013년도 원격 강좌의 수는 938개로, 수강 인원은 6만3천691명으로 각각 전년보다 21.7%, 24.3% 증가했다.
대학 재학생 중 장애학생의 비율은 0.23%이고, 장애학생 1인당 보조인력은 1.82명이었다.
대학의 2014년도 총예산은 31조6천23억원으로 작년보다 1.17% 늘었다.
이번에 공시된 항목은 입학전형 유형별 선발결과, 기회균형 선발결과, 신입생의 출신 고등학교 유형별 현황, 국·공립대 회계별 예산 현황, 사립대 자금예산서, 합산재무제표 예산 현황, 산학협력단 현금예산서, 대학의 원격 강좌 현황, 강사 강의료, 장애학생 지원체제 구축 및 운영 현황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