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신태용의 '공격 축구', 유럽리거와 찰떡궁합



축구

    신태용의 '공격 축구', 유럽리거와 찰떡궁합

    아쉬웠던 K리거와 호흡은 남은 두 차례 소집서 개선 약속

    신태용 올림픽 축구대표팀 감독은 '공격 축구'라는 확실한 지향점을 가졌다. 박종민기자

     

    신태용 올림픽 축구대표팀은 확실한 색을 가진 지도자다. 과거 현역시절에도 공격수로 활약했던 그는 지도자가 된 뒤에도 ‘공격’이라는 분명한 지향점을 통해 K리그 성남 일화(현 성남FC)에서 성공적인 지도자 데뷔도 마쳤다.

    국가대표팀 코칭스태프로 합류한 그는 이광종 감독의 뒤를 이어 올림픽 축구대표팀의 감독까지 맡았다. 지난 2012년 런던 대회 때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당시 대표팀이 한국 축구 역사상 최초의 올림픽 메달을 따냈던 만큼 리우 대회에 나서야 하는 신태용 감독에게는 분명한 부담이었다.

    하지만 신태용 감독은 ‘공격 축구’로 정면 돌파에 나섰다. 그 중심에는 유럽 프로축구리그에서 활약하는 공격자원들이 있다. 신태용 감독은 지난 9일과 12일 호주 올림픽 축구대표팀과 평가전을 앞두고 류승우(레버쿠젠)와 황희찬(FC리퍼링), 박인혁(FSV프랑크푸르트), 지언학(알코르콘), 최경록(상파울리) 등 유럽리그에서 활약하는 공격자원을 대거 선발했다.

    특히 이들은 대부분의 선수가 1993년과 1994년생인 것과 달리 지언학은 1994년, 박인혁과 최경록은 1995년, 황희찬은 1996년생으로 나이가 더 어렸다. 형들과 함께 경기해야 하는 상황이었지만 실제 경기에서는 이들의 경기력이 빛을 발했다. 실제로 호주와 2연전에서 ‘신태용호’가 얻은 득점은 총 4골. 이 가운데 상대 골키퍼의 자책골을 제외하면 우리 선수들이 얻은 득점은 총 3골이다. 이 모두가 해외파 선수들의 직*간접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9일 화성 경기에서는 황희찬의 드리블 돌파에 이은 지언학의 마무리, 최경록의 프리킥을 안전하게 처리하지 못한 상대 골키퍼 실수를 틈탄 연제민(수원)의 슈팅으로 2-0 승리했다. 12일 이천 경기에서는 후반 시작과 함께 교체 투입된 류승우가 4분 만에 최경록의 크로스를 머리로 마무리했다.

    독일 분데스리가 바이엘 레버쿠젠에서 활약하는 류승우(등 번호 10번)는 신태용 감독의 올림픽 축구대표팀에서 에이스 역할을 소화한다. 가장 나이가 어렸던 황희찬(등 번호 20번)도 저돌적인 공격으로 주목 받았다. 박종민기자

     

    류승우는 12일 경기 후 "감독님이 원하는 공격적인 축구가 나와 잘 맞는 것 같다. 공격수의 전방 압박과 공격적인 움직임 등 감독님의 축구가 소속팀에서 원하는 축구와 비슷하다"면서 신태용 감독의 공격 축구에 빠른 적응력을 보였다. 황희찬 역시 "공격적이고 도전적이며 저돌적인 선수로 성장하기 위해 준비를 해왔는데 이 부분이 신 감독님의 축구와 잘 맞아떨어지는 것 같다"고 말했다.

    물론, 이 두 경기에서 K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들의 경기력이 나빴던 것은 아니다. 유럽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들의 대거 합류로 위기감을 느낀 이들은 경기에서 신태용 감독의 눈도장을 찍기 위해 더욱 투지 넘치는 모습을 보여주며 호주와 대등한 싸움을 벌였다. 다만 확실한 마무리가 아쉬웠다. 실제로 이들을 상대한 호주의 비드마르 아우렐리우 감독은 “한국의 모든 선수가 인상 깊었다. 경기력과 체력이 굉장히 뛰어났다”고 평가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