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WHO, 확진자 7천명 넘자 '비상사태' 뒷북 선포

아시아/호주

    WHO, 확진자 7천명 넘자 '비상사태' 뒷북 선포

    WHO 30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비상사태 선포. 12월 발병 이후 한달 넘게 늑장 대처 지적 확산. 게브레예수스 중국에 대한 지나친 저자세 논란도.

    WHO 수뇌부 회의 모습. (사진=AP=연합뉴스)

     

    세계보건기구(WHO)가 30일(현지시간) 세계로 확산되고 있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와 관련해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포했지만 타이밍을 놓쳤다는 ‘뒷북’ 논란은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지난해 12월 중국 우한(武漢)에서 첫 발생 사례가 나온 이후 인접한 아시아 국가로 번지는 등 대규모 전염이 충분히 예상됐는데도 한달 넘도록 WHO가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테드로스 아드하놈 게브레예수스 WHO 사무총장은 이날 스위스 제네바 WHO 본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번 (국제적 비상사태) 선포의 주된 이유는 중국에서 발생하고 있는 일 때문이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도 일어나고 있는 일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23일 긴급 회의를 마친 뒤 "중국 외 지역에서는 현재 사람 간 전염에 대한 증거가 없다"며 비상사태를 선포하지 않았던 것을 의식한 대목이다.

    ‘사람 간 전염’에 대한 증거가 없다고 했지만 이후 일본과 독일 한국 등 세계 곳곳에서 사람과 사람간 전염 사례가 속출했다. 일본에서는 우한에서 온 여행객들이 탄 버스 운전사와 안내원이 감염됐으며 독일에서는 중국 상하이에서 온 중국인 여성 동료를 만난 뒤 감염된 사례가 나왔다. WHO가 섣부르게 상황을 판단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더구나 비상사태 선포가 감염확산을 막기 위한 예비적 조치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이미 중국 이외 18개국에서 7천명이 넘는 감염자가 발생한 뒤에야 나온 비상사태 선포가 무슨 의미가 있느냐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특히 지난 해 12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첫 발생한 이후 보여준 WHO의 굼뜬 행보는 이런 주장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WHO는 첫 발병 보고 이후 거의 한 달이 흐른 후인 지난 22일에야 긴급 위원회를 처음 소집했지만 그나마도 비상사태 선포는 이뤄지지 않았다. 1뤌말에 중국 최대 명절인 춘제(春節)가 있어 대규모 전염이 우려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더욱 이해하기 힘든 행보였다.

    WHO 수장인 게브레예수스 사무총장의 지나친 '중국 저자세'도 논란이 되고 있다. 비상사태 선포 최종 권한은 사무총장에게 있다는 점에서 WHO의 늑장 행보의 핵심 원인은 게브레예수스 사무총장에 있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앞선 긴급 위원회에서 “아직 국제적인 보건 비상사태는 아니다”며 비상사태 선포를 하지 않았던 게브레예수스 사무총장은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을 만나고 난 뒤에야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그나마도 전염 확산 차단을 위해 필수적인 국가간 이동·교역 제한 권고는 배제됐다. 이미 각국 항공사들이 잇따라 중국 운항을 취소하는 등 자체적으로 중국으로 이동을 축소해가고 있는 현실과도 배치되는 것이다.

    중국 내부에서도 잘못된 초동 대응으로 감염이 확산됐다는 비판론이 비등하고 있지만 게브레예수스 사무총장은 중국 정부의 조치에 대한 찬사로 일관하고 있다. 비상사태를 선포한 뒤 가진 기자회견에서도 "이번 선언은 중국에 대한 불신임 투표가 아니다"며 중국에 대한 배려를 잊지 않았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