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日 피할 생각 없다" 韓, 조 1위·16강 한일전 성사에 필요한 건 '득점 본능'



축구

    "日 피할 생각 없다" 韓, 조 1위·16강 한일전 성사에 필요한 건 '득점 본능'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 연합뉴스위르겐 클린스만 감독. 연합뉴스엇갈린 희비. 연합뉴스엇갈린 희비. 연합뉴스조별리그를 일찌감치 통과했으나, 목표는 조 1위다. 한국 축구 대표팀을 이끄는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이 말레이시아전 필승 각오를 전했다.

    대표팀은 지난 24일(한국 시각) 카타르 도하의 알투마마 스타디움에서 열린 일본과 인도네시아의 2023 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 조별리그 D조 최종 3차전 결과에 따라 16강 진출을 조기에 확정했다.

    이번 대회에는 24개국이 참가해 6개조로 나뉘어 조 1, 2위가 16강에 진출한다. 그리고 3위 중 상위 4개팀이 나머지 16강행 티켓을 가져간다.

    신태용 감독이 이끄는 인도네시아는 이날 일본에 1 대 3으로 패했다. 아직 조별리그 탈락이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승점 3(1승2패·골득실-3)에 그쳐 16강 진출 가능성이 낮은 상태다.

    다른 조에서는 조 3위 중 16강에 진출한 팀과 탈락한 팀이 나왔다. B조 시리아와 C조 팔레스타인은 나란히 승점 4(1승1무1패·골득실0)로 16강에 올랐고, A조 중국은 승점 2(2무1패·골득실-1)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인도네시아 입장에서는 남은 조 3위인 E조 바레인, F조 오만의 최종전 결과를 지켜봐야 한다. 특히 승점 1(1무1패·골득실-1)의 오만이 승점 0(2패)의 키르기스스탄과 비겨야 16강에 오를 수 있다.

    훈련 지켜보는 클린스만 감독. 연합뉴스훈련 지켜보는 클린스만 감독. 연합뉴스반면 E조에서 승점 4(1승1무·골득실2)를 기록 중인 한국은 중국, 인도네시아보다 승점이 높아 조 3위 중 상위 4개팀의 자리를 확보했다. 순위에서는 요르단과 승점이 같지만, 골득실에서 2골 차로 밀려 2위를 달리고 있다.

    한국은 1960년 대회 이후 64년 만의 정상에 도전한다. 이번 대회에는 손흥민(토트넘), 이강인(파리 생제르맹), 김민재(바이에른 뮌헨) 등 유럽 정상급 클럽에서 활약 중인 주축 선수들이 총출동해 우승의 적기라는 평가를 받는다.

    그만큼 16강 진출보다 조 1위를 차지해 자존심을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이 조 1위에 오르려면 25일 카타르 도하의 알자누브 스타디움에서 열린 대회 조별리그 E조 최종 3차전에서 말레이시아를 상대로 다득점 승리가 필요하다.

    최근 부진한 공격진에 변화가 필요하다. 3-1 승리를 거둔 바레인전은 멀티골을 넣은 이강인만 돋보였고, 2-2로 비긴 요르단전은 손흥민의 페널티킥 골 외 공격진은 별다른 모습을 보이지 못했다. 특히 조규성(미트윌란)이 앞선 2경기에서 모두 여러 차례 득점 기회를 놓쳐 아쉬움을 삼켰다.

    E조 1위인 요르단은 같은 시각 칼리파 인터네셔널 스타디움에서 바레인과 격돌한다. 이미 골득실에서 한국에 앞서 있는 만큼 현재로선 요르단이 조 1위로 16강에 오를 가능성이 높다.

    기자회견장 들어서는 클린스만 감독. 연합뉴스기자회견장 들어서는 클린스만 감독. 연합뉴스
    클린스만 감독은 경기를 하루 앞둔 24일 공식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승리할 자격이 있고, 조 1위에 오를 자격이 있다는 것을 증명하겠다"고 다짐했다. 요르단을 제치고 조 1위로 16강에 오르겠다는 각오다.

    해외 언론에서는 한국이 우승 길목에서 일본, 사우디아라비아 등 강팀들을 만나는 것을 두려워 한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에 클린스만 감독은 "전혀 아니다. 피하고 싶은 팀은 없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한국이 조 1위로 16강에 오를 경우 D조 2위인 일본과 격돌한다. 국제축구연맹(FIFA) 랭킹이 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17위인 일본은 23위인 한국과 이번 대회의 강력한 우승 후보로 꼽힌다. 16강부터 사실상 결승전이 펼쳐질 수 있지만, 클린스만 감독은 결코 피할 생각이 없음을 강조했다.

    한국과 3차전에서 맞붙을 말레이시아는 김판곤 감독이 지휘하고 있다. 대한축구협회 부회장과 국가대표감독선임위원장을 역임했던 김 감독은 고국인 한국에 대해서 누구보다 잘 아는 인물이다.

    조 최하위(승점0)으로 이미 조별리그에서 탈락한 말레이시아는 더이상 물러설 곳이 없다. 김 감독은 "한국은 매우 강한 팀이다. 약점을 찾기 힘들다"면서도 "우리는 도전적인 경기를 해야 한다. 두려워하지 말고 용감하게 싸워야 한다"고 이를 악물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