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OECD 4위 韓…2030년 NDC 벅찬데, 또 '2035년 숙제'

핵심요약

온실가스 배출량 반등·반락 널뛰기…2030년 NDC 달성 미지수
2035년 NDC, 연내 새로 UN에 제시해야…"3월중 실무 착수"
한국, 2021년 OECD 4위 배출국…EU추정치로는 2022년 13위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2월 28일 기자간담회에서 "3월 중 실무팀을 꾸려 2035년 NDC 수립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환경부 제공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2월 28일 기자간담회에서 "3월 중 실무팀을 꾸려 2035년 NDC 수립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환경부 제공
정부가 '2035년 NDC'(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에 착수를 예고한 가운데 앞서 UN에 보고된 '2030년 NDC'에는 얼마나 접근했는지 관심이 쏠린다. 최근 2년간 널뛰기하는 통계치를 보면 달성 전망을 예단하기 어렵다.
 
1일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에 따르면 최신 자료인 2021년 기준치로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총배출량은 6억7665만톤(CO2eq, 이산화탄소 환산톤)이다. 산림·농지·초지·습지 등 온실가스 흡수원(LULUCF, 토지이용·토지이용변화·임업)을 제한 순배출량은 6억3888만톤이다.
 
매년 꾸준한 배출량 감소가 2030년 NDC 달성에 유리하지만 전년 대비 총배출량은 3.4%, 순배출량은 3.6% 각각 늘었다. 2019년과 2020년 각각 전년 대비 3%대와 6%대 배출량 감축이 이뤄졌던 게 2021년 뒤집힌 셈이다.
 
이 와중에 2022년에는 다시 전년 대비 배출량이 감소했다는 긍정적 신호도 잡힌다. 대통령 직속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의 2022년 잠정 통계로는 총배출량이 전년 대비 3.5% 감소한 6억 5450만톤이다.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의 2021년까지 배출량 확정치와 탄소중립위원회의 2022년까지 잠정 추산치를 감안하면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감축 수준은 2030년 NDC인 순배출 4억3660만톤 도달 경로에서 이탈해 있다. 각 기관 자료 재구성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의 2021년까지 배출량 확정치와 탄소중립위원회의 2022년까지 잠정 추산치를 감안하면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감축 수준은 2030년 NDC인 순배출 4억3660만톤 도달 경로에서 이탈해 있다. 각 기관 자료 재구성
2030년 NDC는 2018년 총배출량(7억2763만톤)의 40%인 4억3660만톤을 2030년에 '순배출'하겠다는 것이다. 2018년 순배출량(6억8635만톤)으로 따지면 실상은 40%가 아닌, 36.4% 감축이다. 어쨌든 12년간 순배출량 2억5천만톤 안팎을 감축하자면, 매년 약 3.7%씩 또는 2084톤씩 줄여야 한다.
 
탄소중립위에 참여했던 한 관계자는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가 일관된 방향성을 보이지 않고 있는 만큼, 정부의 관리가 중요하다"며 "탄소중립위에서 연도별 목표치라도 구체적으로 설정해 독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파리기후협약에 따라 우리나라도 5년 주기로 NDC를 수립할 의무가 있다. 이전 목표치 대비 '후퇴'가 금지되는 협약상 2035년 NDC는 2030년 NDC의 '최고점인 2018년 대비 40% 감축'에서 진전시켜야 한다. 2030년 목표치 달성 여부가 미지수인 상황에서 더 강화된 5년 뒤 목표를 설정하기는 쉽지 않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3월 중 실무팀을 꾸려 2035년 NDC를 올해 마무리할 것이다. 우리나라 온실가스 감축수단 잠재력을 충분히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비교 가능한 통계치로 보면 2021년 사정은 주요 외국도 비슷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에 따르면 38개 회원국 중 2021년 자료를 공개한 33개국의 합산 총배출량은 149억2001만톤으로 전년 대비 3.9% 늘었다.
 
국가별로는 슬로바키아(10.9%)와 에스토니아(10.6%)가 두자리수 증가율을 기록했고, 이탈리아(8.5%), 튀르키예(7.7%), 폴란드(7.6%) 등의 증가율이 컸다. 배출량 대국 미국도 5.2% 총배출량을 늘렸다.
 
전년 대비 총배출량을 줄인 나라는 노르웨이(0.6%), 뉴질랜드(0.7%), 호주(1.5%), 포르투갈(2.9%) 뿐이었다.
 
OECD 통계자료 재구성OECD 통계자료 재구성2021년 OECD 회원국 중 온실가스 총배출량은 미국(63억4022만8천톤), 일본(11억6809만5천톤), 독일(7억6035만8천톤) 순으로 많았다. 우리나라는 4번째였고, 캐나다(6억7042만8천톤), 튀르키예(5억6439만톤), 호주(5억2863만2천톤), 영국(4억2949만톤), 프랑스(4억2006만톤)이 뒤를 이었다.
 
유럽연합이 추산한 2022년 배출량으로는 중국이 전세계를 압도하는 온실가스 배출국이었다. '유럽연합 배출량 데이터베이스'(EDGAR)에 따르면 중국은 156억8460만톤으로 1위로 추정됐다. 이는 2~6위 배출국의 합산치에 맞먹는다.
 
뒤이어 미국(60억1740만톤), 인도(39억4330만톤), 러시아(25억7980만톤), 브라질(13억1050만톤), 인도네시아(12억4080만톤), 일본(11억8280만톤), 이란(9억5200만톤), 멕시코(8억1990만톤), 사우디아라비아(8억1050만톤) 등이 10위권에 들었다. 여기서 우리나라는 7억2570만톤으로 13위였다.EU 배출량 데이터베이스(Emissions Database for Global Atmospheric Research) 통계자료 재구성EU 배출량 데이터베이스(Emissions Database for Global Atmospheric Research) 통계자료 재구성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4

2

전체 댓글 4

새로고침
  • NAVER곰재앙2024-03-02 13:58:43신고

    추천1비추천4

    개버린때 임야에 태양광 ㅈㄴ 쳐 박아 놓으니까 산림청이 임야 REC 가중치 원래 0.7~1.2였는데 0.7로 고정한거는 알고 있냐? C최소 여기서 댓글 싸지르는 대깨문중에 태양광 발전소 오너는 없을거 같다 말하는 꼬라지 보니 ㅋㅋㅋ 그리고 각 지역 마다 태양광등 신재생 에너지 관련으로 조례 댕빡시게 바꿔놓았는데 이거 개버린이 말해도 못바꿔 ㅋㅋㅋ 군수가 재선이 중요하지 군민들 말 안듣고 개버린 말대로 허가 내린다?? 다음 재선 절대 못하지 ㅋㅋㅋ

  • NAVER곰재앙2024-03-02 13:54:02신고

    추천1비추천4

    RE100 조성하려면 전국토 임야 70% 밀어야하는데 대깨문들아 산 다 없애버리고 태양광 쑤셔 박아야 하냐? ㅋㅋㅋㅋ 한국에서 그나마 태양광 발전 요충지가 충청도랑 전라도 경상도인데 개버린때 발전사업허가 받는거 힘들었다 국가돈으로 창업 폐업 밥 먹듯이 하는 도둑들 땜시 태양광 게이트가 괜히 나온 말이아냐 ㅋㅋ 그리고 변전소 근처에 없으면 멀리에 달아야 하는데 전기줄 가격도 만만치 않고 용량 다 차면 추가 증설까지 기다려야 한다 장담하는데 이재명 대통령 되도 RE100 못함~ 임야 누가 밀건데 ㅋㅋ 군수가? 절대 안한다 장담한다

  • NAVERcool2024-03-02 12:34:37신고

    추천5비추천1

    이와중에 RE100 모르는 윤건희와 모르면 어떻냐는 똥멍충이 한똥. 앞으로 유럽 미국 등 RE100(재생에너지100%활용) 안하면 각종 제제에 걸림.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