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5년내 전국 온실 35% 스마트팜으로 전환…정부, 스마트농업 청사진 첫 공개

5년내 전국 온실 35% 스마트팜으로 전환…정부, 스마트농업 청사진 첫 공개

핵심요약

농식품부, 1차 스마트농업 육성 기본계획 수립
2029년까지 16%인 스마트 온실 비율 35%로 확대
밭작물 주산지 재배면적 20% 스마트화

농림축산식품부 제공농림축산식품부 제공
오는 2029년까지 전국 온실의 35%가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이 접목된 스마트팜으로 전환되고, 밭작물 주산지 재배면적의 20%에 스마트농업 기술이 적용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제1차 스마트농업 육성 기본계획'(2025~2029)을 21일 발표했다.
 
우선 농식품부는 앞으로 5년 동안 전국의 온실 약 5만5천㏊의 35%를 스마트팜으로 전환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현재 스마트 온실 비율은 16% 수준이다.

이어 기계화가 진행 중인 주요 밭작물 주산지 재배면적의 20%에 1개 이상의 스마트농업 기술을 적용하기로 했다.

농식품부는 이를 위해 올해 전국 4개 시‧군을 대상으로 '스마트농업 육성지구'를 추진하는 등 스마트농업과 연관산업이 집적화된 클러스터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배추, 사과 등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단지‧시범지구를 교육, 기술 실증 기능을 갖춘 거점단지로 전환하기 위한 계획도 마련한다.

이상기후에 대응해 밭농업 기계화 추진 8개 작물과 5대 과수 품목 주산지를 중심으로 사용하기 쉽고 효과성이 높은 스마트농업 솔루션을 보급하고 교육, 컨설팅 등 정책사업도 연계 지원하기로 했다.

스마트농업인 육성에도 적극 나서 스마트농업 실습 교육을 제공하는 '전문교육기관'을 2곳에서 4곳으로 확대하고, 전문적인 교육과 컨설팅 능력을 갖춘 '스마트농업관리사 자격제도'도 도입한다.

ICT시설‧장비 지원품목에 과수작물과 수직농장을 추가하고 스마트팜 종합자금 지원품목과 규모도 늘리기로 했다.

스마트온실과 수직농장에 대해서는 호환성과 수출경쟁력을 바탕으로 K- 표준모델을 구축하고 기후변화, 노동력 감소를 극복하기 위해 드론, 로봇 등 노지 스마트농업 기술도 고도화하기로 했다.

농식품부는 이밖에 우수기업을 선정해 자금, 투자유치 등 정책지원을 집중하고, 우수 농업회사법인에는 기자재‧서비스 생산 등으로 사업범위 확대를 허용하기로 했다.

또한 ICT 기자재·데이터 표준의 현장적용을 촉진하고, 스마트팜 수출 확대를 위해 정부 간 협력 확대· 해외 실증 및 수출기업 컨소시엄 지원 강화도 추진하기로 했다.

김정욱 농식품부 농식품혁신정책관은 "농업은 첨단기술을 매개로 새로운 산업과 융합하고 범위를 확장해 성장산업으로 도약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크다"며 "정부는 스마트농업과 연관산업이 동반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