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주택 임대차 계약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이 60%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에서 확정일자를 받은 주택 임대차 계약 247만 6870건 가운데 월세 계약은 142만 8950건이었다.
전체 임대차 계약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57.7%로, 대법원에 확정일자 정보가 취합되기 시작한 2014년 이후 최고치다.
2020년 40.8%에 그쳤던 월세 비중은 2022년 51.9%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50%를 넘었다. 이어 2023년 54.9%로 늘었고, 지난해에는 57% 선을 돌파했다.
급격한 월세 비중 상승은 2022년부터 불거진 전세사기 여파로 빌라(연립·다세대) 시장의 전세 기피 현상이 심화한 데 따른 결과로 해석된다.
아파트 임대차 시장에서 월세 비중 증가 폭은 미미한 데 비해 빌라 임대차 시장에서는 월세 비중 증가 폭이 두드러졌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아파트 월세 비중은 44.2%로 전세사기 문제가 불거진 2022년 같은 기간 43.1% 대비 1.1%p 커졌다.
그러나 전세사기 피해가 컸던 연립·다세대 등 비아파트 월세 비중은 2022년 59.5%에서 지난해 69.5%로 10%p나 확대됐다.
한편, 지난해 지역별 월세 비중은 제주도가 78.5%로 압도적이었다. 이어 충남 64.0%, 대전 63.4%, 부산 62.1%, 경남 61.9%, 울산 61.5%, 서울 60.3% 등 순이었다.
월세 비중이 가장 낮은 지역은 44.5%의 전남이었고, 충북(50.4%)과 인천(51.6%)도 월세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