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트럼프 행정부가 9일(현지시간) "중국을 제외한 국가에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한다"고 발표하면서, 한국 입장에서는 숨가쁘게 진행되던 관세 협상 국면에서 일단 한숨을 돌리게 됐다.
특히 한국이 오는 6월 3일 대선을 통해 '리더십 공백' 사태를 해소하고, 새로운 정부하에서 본격적인 대미 관세 협상에 나설 수 있는 물리적 시간을 확보하게 된 것이다.
물론 미국의 관세 협상 시간표가 한국의 정치 상황에 맞춰져 있는 것이 아닌 만큼 한국이 원하는대로 협상이 진행된다는 보장이 없지만, 일단 이날부터 적용되기 시작한 미국의 상호관세가 유예되면서 나름대로 전열을 가다듬을 수 있는 여유가 생긴 셈이 됐다.
반면 미국은 미국의 상호관세에 '맞불 관세'를 꺼내든 중국에서 대해서는 125%의 관세 부과를 공언하면서 관세 전쟁의 전선을 중국에 집중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이로인해 일단 단기적으로는 중국의 대미 수출이 급속하게 경색되면서 한국으로선 상대적인 반사이익을 누릴 가능성도 제기된다.
다만 중국도 트럼프 대통령의 선전 포고에 쉽게 물러서지 않겠다는 의지를 거듭 피력하면서, 양대 무역 대국의 '치킨 게임'이 글로벌 경제 상황에 전반적인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여기에 유럽연합(EU)이 미국의 관세 정책에 반발해 다음주부터 일부 미국 상품에 최고 25%의 보복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것도 변수다.
다만 이는 지난달 발효된 미국의 철강관세에 대한 대응 차원으로, EU는 당초 예고한 것보다 대상 품목과 관세율을 낮추며 미국과의 협상 여지는 남겨뒀다.
미국은 이번 관세 유예 조치와 관련해 "미국에 보복하지 않고 관세 인하를 요청한 국가들과 협상할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라고 밝혔다.
70여개국 각각의 맞춤형 관세 해법을 도출해야하기 때문에 그만큼 고려해야할 사안이 많고 시간이 필요하다는 설명이었다.
하지만 미국의 상호 관세 발표 이후 미국은 물론 전 세계 주식 시장이 폭락하고 있는 것이 트럼프 행정부에겐 부담이 됐을 가능성이 크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일방적인 관세정책이 결국 미국의 경제도 어렵게 만드는 '부메랑'이 될 수 있다는 우려·경고를 해왔다.
실제 이번 상호관세 후폭풍이 미국의 경기침체와 인플레이션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것이 향후 지표로 확인됐을 경우,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비판 역시 커질 수 밖에 없어 임기 초반부터 정책 추진 동력이 떨어질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