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는 6·25 한국전쟁 발발 63주년이었다. 기념일 등이 다가오면 그날의 의미 등을 알리기 위해 다양한 행사를 준비한다. 국내 혹은 국제적인 인사들이 입국해서 그 날의 의미를 새기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올 6·25 한국전쟁은 예년과 다르게 부산을 떠는 듯하다. 얼마 전 박근혜 대통령이 청소년들이 인식하고 있는 6·25 한국전쟁에 대한 무지를 걱정과 한탄하면서 부터다. 이는 정부가 자초한 면이 많다.
박 대통령은 청소년들의 의식 조사에서 응답자 중 69%가 6·25 한국전쟁을 북침이라고 응답한 조사결과에 대해 한탄했다. 기성세대들도 박 대통령과 같이 청소년들의 그런 생각들에 대해 우려한다. 심지어 성인의 36%, 청소년의 53%는 6·25 한국전쟁의 발생연도조차 모르는 것으로 응답했다.
6·25 한국전쟁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에 대해서 박대통령이 인식하고 있는 것처럼 답답하다. 이런 상황에 직면한 것은 교육현장의 잘못이기도 하지만 정부 교육당국의 무지도 한몫했다.
청소년들은 초중등 교육과정을 통해 사회진출을 위한 기초교육과정을 마친다. 수능시험은 초중등교육과정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시험이지만 국사과목을 포함되지 않는다. 국사과목은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
6·25 한국전쟁 63주년을 맞아 방문한 래리 키나드(84) 미국 6·25 참전전우회 회장은 "역사를 잊어버리면 그 역사는 반복된다"고 강조했다.
우리는 역사를 얼마나 홀대하며 오늘까지 살아왔는지를 반성해야 한다. 국민들의 안보의식은 역사교육을 통해서 튼튼히 할 수 있다. 그러나 안보교육을 정권유지 수단으로 악용해 왔던 과거와 같은 오류를 범해서도 안 된다. 안보의식은 국민들의 상식 수준에서 넘치지도 부족하지 않은 적정수준에서 교육돼야 한다.
7월은 정전협정 60주년이 된다. 정전 후 북한은 수차례 침범을 계속해 왔다. 그러나 우리 정부는 적절한 사과를 받아내기보다는 억지춘향으로 일관해 왔다.
우리 정부의 무색무취한 태도가 국민들에게 안보불안과 안보불감증을 함께 불러왔다. 안보불감증이 안보교육이나 상식수준의 역사적인 안보관련 사건들을 인식할 필요조차 없는 상황으로까지 발전시켰다. 안보의식의 향상은 6·25 한국전쟁이 발생한 6월에 한정해서 교육할 일은 아니다. 평상시에 학교에서부터 교육하는 항상심이 필요하다.
※ 본 기고/칼럼은 CBS노컷뉴스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