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사람'보다 '브랜드'…코레일과 중앙대의 교훈



사건/사고

    '사람'보다 '브랜드'…코레일과 중앙대의 교훈

    노동자 목소리는 '외면'…'파업=브랜드 실추' 인식 공통점

    코레일 최연혜 사장. (사진=황진환 기자/자료사진)

     

    연말연시 '파업'이 주요 화두로 떠오른 두 곳을 꼽으라면 코레일과 중앙대학교일 것이다.

    공교롭게도 두 곳에서는 '파업'의 대척점에서 '브랜드' 역시 주요 화두로 꺼내들기 시작했다.

    노동자들이 파업에서 복귀한 뒤 징계 수순을 밟고 있는 코레일의 경우 "파업으로 코레일의 브랜드 가치가 하락했다"며 철도노조를 상대로 10억 원의 위자료를 청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당 김우철 전문위원이 작성한 '철도노조 탄압 현황' 자료에 따르면, 코레일은 철도노조에 영업손실액과 위자료 명목으로 10억 원을 청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파업 기간의 대체인력 투입 비용 역시 철도노조에 추가로 청구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코레일은 116억 원 상당의 노조 소유 부동산과 예금에도 가압류를 신청했고, 150억 원 상당의 손해배상 청구도 진행 중이다.

    법에 보장된 노동자의 권리를 행사하는 것에 대해 '브랜드 가치 실추'를 이유로 별도의 위자료를 청구했다는 점에서 반발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사진=황진환 기자/자료사진)

     

    '브랜드 가치'를 내세우긴 중앙대도 마찬가지다. 파업 중인 청소노동자들에게 대자보 1장당 100만 원의 벌금을 요구하는가 하면, 근무 도중 앉거나 말하지도 못하게 하는 용역계약으로 논란이 된 학교다.

    더욱 심각한 건 '사람'보다 '브랜드'를 중시하는 인식이 비단 학교뿐 아니라, 이 학교 학생들에게까지 만연해있다는 점이다.

    중앙대 총학생회와 단과대 학생들로 구성된 서울캠퍼스 중앙운영위원회는 지난 15일 민주노총 서경지부에 대해 "청소노동자의 농성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중앙대의 브랜드 가치가 떨어져 매우 안타깝다"는 내용의 성명을 낸 바 있다.

    중운위는 "민주노총이 요구하고 있는 것들이 청소노동자의 근로환경 개선에 도움이 되는지 의문"이라면서 "민주노총은 중앙대에서 철수해야 하고 이 같은 요구를 관철시키기 위한 노동 쟁의는 지지할 수 없다"고도 했다.

    오죽하면 다른 재학생과 졸업생들이 지난 18일 다시 성명을 내어 "브랜드 가치 하락을 언급한 중운위의 주장이 오히려 부끄럽다"고 반박했을 정도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