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6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제1회 국무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김영한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이 국회 출석을 거부하고 사의를 밝히면서 박근혜정부의 단명 고위공직자 명단에 이름을 추가할 것으로 보인다.
김 수석은 9일 청와대 문건 유출 사건과 관련해 국회 운영위원회에 출석하라는 여야 합의와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의 출석 지시에 응하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왕 실장으로 통하는 김기춘 비서실장이 출석을 지시했지만 응하지 않고 사의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져 초유의 항명사태로 확산되고 있다.
김 수석은 대검 강력부장까지 역임하고 지난 2012년 변호사 개업을 했으며 지난해 6월 청와대 민정수석에 기용됐다. 검사 시절에는 공안통으로 분류됐다.
실제로 서울지검 공안1부장 때인 지난 2003년에는 문성근 전 민주통합당 대표, 수원지검장 때인 2010년에는 김상곤 당시 경기도교육감을 기소한 바 있다.
민정수석 발탁 때는 1991년 한 술자리에서 맥주병으로 기자를 내리쳤던 전력이 알려져 뒤늦게 구설에 오르기도 했었다.
청와대 입성 뒤에는 외부와의 접촉을 최소화했으나 국회 출석 거부와 비서실장의 지시 거부라는 전례없는 사태를 초래하며 박근혜정부의 단명 민정수석 명단에 오르게 됐다.
앞서 박근혜정부 들어 첫 번째 민정수석이었던 곽상도 전 수석은 지난 2013년 3월 임명됐으나 불과 5개월 만에 경질됐다.
곽 전 수석은 국정원 댓글 사건 수사에서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원세훈 전 국정원장 기소를 관철한 채동욱 전 검찰총장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해 교체된 것으로 알려졌다.
곽 전 수석의 뒤를 이은 홍경식 전 민정수석도 지난 2013년 8월부터 이듬해 6월까지 10개월 정도 재직한 뒤 김영한 수석에게 자리를 넘겨줬다.
{RELNEWS:right}홍 전 수석은 당초 잇따른 인사검증 실패의 책임을 지고 물러난 것으로 알려졌으나 청와대 문건 유출 사건이 불거진 뒤에는 이 사건의 연장선에서 그의 경질이 해석되고 있다.
결국 박근혜정부 들어 대통령이 가장 믿고 일을 맡길 만한 청와대 민정수석의 수명이 채 1년을 넘기지 못하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이명박정부 때 권재진 전 민정수석은 2009년 9월에 임명돼 1년 10개월을 재임했다. 정진영 전 수석은 2011년 8월부터 이명박 전 대통령의 임기가 끝날 때까지 재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