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파고들기]역사학자가 본 '슈룹' 고증 "조선 말고 청나라풍"

  • 0
  • 폰트사이즈
    - +
    인쇄
  • 요약


미디어

    [파고들기]역사학자가 본 '슈룹' 고증 "조선 말고 청나라풍"

    핵심요약

    역사학자, 문화비평가 등 전문가들이 본 '슈룹' 고증 논란
    "주자 성리학 조선에선 '망상'…중국 청조와 유사해"
    "시대적 맥락상 불가능한 것…역사에 대한 존중 없다"
    "중국식 구성에 대한 반감, 창작 자율성 해칠 수도"

    tvN 제공tvN 제공배우 김혜수의 복귀작 tvN 토일드라마 '슈룹'이 역사 고증 논란으로 시끄럽다.

    가상의 조선시대가 배경인 '슈룹'은 사고뭉치 왕자들을 위해 치열한 왕실 교육 전쟁에 뛰어드는 중전의 파란만장 궁중 분투기를 그린다.

    배경만 조선시대를 차용했을 뿐, 그 안을 들여다보면 자녀에 대한 교육열이 높은 대한민국의 현실과 크게 다를 것이 없다. 중전 화령(김혜수 분)은 대군들의 교육을 위해 밤낮없이 뛰어다니고, 후궁들은 어떻게든 자녀가 최고의 자리(왕)에 올라가도록 온갖 비책을 펼치고 구한다. 이를 위해서라면 '목숨'도 아깝지 않다. 이른바 조선판 'SKY 캐슬'을 떠올리게 하는 대목이다.

    이렇다 보니 드라마 전개를 위해 조선 왕실에선 있을 수 없을 법한 설정들이 생겨났다. 세자·세손이 건재한 상황에서 '제왕' 자리를 놓고 왕자들 간 물밑 경쟁이 벌어진다거나, 대군들이 왕자들과 같은 처지에서 경쟁을 한다거나, 대군을 다섯이나 낳은 중전 화령의 입지가 취약하다거나, 후궁 출신 대비(김해숙 분)가 존재한다는 지점이 그렇다. 대사에서도 중전이 대군들을 '내 새끼'로 칭하거나, 왕자들이 중전과 세자를 두고 '너희 엄마' '세자 새끼'라고 하는 등 현대의 말투가 등장한다.

    여기에서 문제가 생겼다. 조선이 배경이면서도 이 같은 설정과 대사들이 중국 고장극, 특히 후궁 암투물의 문법과 유사하다는 비판이 나왔다. 실제로 이런 설정들이 청조(淸朝) 시대를 배경으로 한 중국 고장극과 닮아 있는 것은 맞다.

    전우용 역사학자는 CBS노컷뉴스에 "조선 왕실에서 저런 일은 있을 수가 없었다. 조선은 철저한 적서차별의 사회였고, 주자 성리학을 바탕으로 한 사회였다. 중전이나 세자에게 왕자가 저렇게 말하는 건('새끼' 등 멸칭) 목숨이 위태로울 수 있는 일이었다. '가상' 수준이 아니라 '망상'"이라며 "중국도 원래는 주자 성리학에 따른 사회였지만 유목 민족인 청조가 시작된 후로 8명의 황자가 황제위를 두고 다투는 등 지금 '슈룹'의 설정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라고 설명했다.

    tvN 제공tvN 제공퓨전 사극이라도 '슈룹'이 역사 콘텐츠인 이상 기본적인 시대적 맥락을 벗어난다면 오히려 작품의 완성도가 떨어질 수 있단 진단이다.

    김재원 역사학자는 "저는 콘텐츠 소재로서 역사를 얼마든지 가지고 놀아도 된다는 입장이다. 그렇더라도 시대적 맥락에서 불가능한 것들이 나오는 건 역사에 대한 존중이 없는 것 같다. 꼭 중국을 따라했다는 지적이 아니라도 그렇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사실상 조선에 대해 조금이라도 알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오히려 그런 요소들이 극의 몰입을 방해하고, 완성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이번 '슈룹' 논란은) 비판 여지가 있는 역사관의 문제는 아니고, 역사 콘텐츠물로 봤을 때 당대 시기에 대한 이해가 떨어지는 정도로 생각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K-드라마가 OTT로 글로벌한 인기를 누리는 상황에서 이런 고증 오류들은 아쉬움을 남긴다.

    한국 홍보전문가인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중국 관련 역사왜곡이나 문화왜곡이 최근 심화되고 있어서 그런 빌미가 될 수 있는 부분이 있다면 아무리 허구적인 드라마라도 조심해야 될 상황이라고 본다"며 "최근 OTT 서비스로 K-드라마들이 세계인들의 주목을 받고 있어 외국인들에게 역사적 오해를 불러 일으키면 안되기 때문에 제작진도 신경을 써야 되지 않나 싶다"라고 당부했다.

    한편으로는 딜레마가 남았다. 배경은 '가상의 조선'일지라도 '슈룹'은 명백히 실존 인물이나 사건을 가져 온 드라마는 아니다. 단지 중국식 구성에 대한 '반감'에서 '역사 고증 논란'이 촉발됐다면 창작의 자율성을 지나치게 제한할 수도 있다는 우려다.

    윤석진 문화평론가는 "결국 중국 청조 시대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에서 있을 법한 에피소드를 조선시대에 옮겨 놓았다는 연결 지점 때문에 민감한 반응이 나온 것이라고 본다. (극의 중심에)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을 가져오면 문제지만 그렇지 않은 작품을 역사 고증으로 걸고 들어가는 것은 무리가 있다"라고 바라봤다.

    이어 "중국식 구성에 대한 반감인데 이 둘을 굳이 연결해서 생각할 필요가 있을까. 중국뿐만 아니라 특정 국가에 대한 반감을 콘텐츠에 가져다 대기 시작하면 창작의 자율성을 해치는 간섭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