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소속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 한병도 의원 등이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비상계엄 당시 계엄군의 국회 단전 조치 모습이 담긴 CCTV 영상을 공개하고 있다. 연합뉴스더불어민주당은 12·3 내란 사태 당시 국회 본관의 단전 조치가 "윤석열 대통령 지시의 연장선에서 벌어졌음이 자명하다"고 17일 밝혔다. 전날 공개된 국회 단전 사실에 윤 대통령 측이 '사실 왜곡과 조작'이라고 반박하자 재차 압박하고 나선 모양새다.
민주당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내란 국조특위)는 이날 성명서를 내고 "비상계엄 당시 계엄군에 의한 국회 단전 사실도 왜곡과 조작이라는 윤 대통령 측의 후안무치함에 경악을 금치 못한다"고 비판했다.
이어 "새로운 증언과 증거가 나올 때마다 '허위다, 거짓이다, 믿을 수 없다'며 책임 피하기에만 골몰하는 비굴한 모습은 애처로울 정도"라며 "법적·정치적 책임을 회피하지 않겠다는 피고인 윤석열은 어디 갔는가"라고 되물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이 국회에 군을 투입하지 않았다면, 사령관들에게 '끄집어내라'고 하지 않았다면 특임대원들이 전기 차단기를 내리는 일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어떤 수단과 방법을 사용해서라도 국회 기능을 마비시켜 계엄 해제 의결을 막으려 했던 것은 다름 아닌 윤 대통령"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당 내란 국조특위는 전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2·3 내란 사태 때 계엄군이 국회 본관 지하 1층으로 진입해 일부 전력을 차단했다"며 당시 활동을 시간대별로 정리해 공개했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김현태 70특수임무단장을 포함한 계엄군 16명은 비상 계엄 선포 약 2시간 뒤인 지난해 12월 4일 새벽 0시32분쯤 국회 본관 2층 창문을 깨고 내부로 들어갔다.
하지만 보좌진과 당직자 등의 저항으로 더이상의 진입이 어렵게 되자 계엄군 16명 가운데 7명은 본관 4층으로 올라가 6분 정도 배회하다가 같은날 새벽 1시1분쯤 승강기를 타고 국회 지하 1층으로 내려갔다.
이후 계엄군은 새벽 1시6분26초에 지하 1층의 분전함을 열어 30여초 뒤 일반조명 차단기를 내렸고, 새벽 1시7분2초에는 비상조명 차단기까지 내려 지하 1층의 전력을 차단했다. 이같은 단전 조치는 약 5분 48초 동안 지속됐다.
내란 국조특위의 발표 이후 윤 대통령 측은 입장문을 내고 "단전 논의는 국회 기능 마비를 위한 것이 아니라 707특수임무단에 부여된 통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나온 것"이라며 "민주당이 엉뚱한 사실을 갖고 대통령이 지시를 한 듯 허위사실로 선동에 나서고 있다"고 반발했다.
이어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 역시 단전에 관해 누구로부터 지시받은 사실 없이 자신이 한 것임을 증언했다"며 "민주당 주장은 새로운 발견이 아니며 곽 전 사령관이 임의로 지시한 것에 대한 재탕, 삼탕"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