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지난달 생산과 소비, 투자 모두 증가하는 '트리플 증가'를 보였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2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산업 생산지수(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는 111.7(2020년=100)로 전월보다 0.6% 증가했다.
전산업 생산은 지난해 11월 1.2% 감소했다가 12월에는 1.7% 올랐고, 전월인 지난 1월에는 2.7% 줄었다가 이번에 다시 증가하며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부문별로는 1차금속(-4.6%)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OLED, IT용 LCD 등 전자부품(9.1%)과 변압기, 자동제어반 등 전기장비(6.0%) 등에서 생산이 늘어 광공업이 1.0% 증가했다.
또 정보통신(-3.9%) 등에서 생산이 줄었지만, 도소매(6.5%), 금융·보험(2.3%) 등을 중심으로 서비스업 생산도 0.5% 증가했다.
특히 7개월 연속 감소했던 건설업은 1.5% 증가하며 반등에 성공했다.
소비 지표인 소매판매도 1.5% 증가했다.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2.5%), 신발·가방 등 준내구재(-1.7%)에서 감소했지만, 통신기기·컴퓨터 등 내구재(13.2%)에서 큰 폭으로 판매가 늘어난 덕분이다.
설비투자 부문에서는 반도체제조용기계 등 기계류(23.3%) 및 자동차 등 운송장비(7.4%)에서 투자가 크게 늘면서 전월대비 18.7%나 증가했다. 다만 비교대상인 지난 1월 설비투자가 14.2%나 감소해 2020년 10월 이후 가장 낙폭이 컸던 기저효과를 고려해야 한다.
또 향후 투자를 가늠케 하는 국내기계수주가 공공(-3.0%) 및 민간(-7.7%)에서 수주가 모두 줄어 전년동월대비 7.4% 감소한 점도 걱정거리다.
이미 지은 건설기성의 경우 건축(-2.2%)에서 공사실적이 줄었지만, 토목(13.1%)에서 공사실적이 늘어 전월대비 1.5% 증가에 성공해 6개월 연속 이어졌던 감소세를 끊어냈다.
다만 앞으로 지을 건설 수주는 공장·창고 등 건축(-9.3%) 및 기계설치 등 토목(-0.1%)에서 수주가 모두 줄어 전년동월대비 6.9% 감소했다.
현재 경기를 알려주는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8.5, 앞으로의 경기를 전망하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100.4를 기록하며 각각 0.1P씩 전월보다 소폭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