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핵심요약

상무부 "주관적·일방적인 평가 바탕으로 관세 도출"
'10+10%' 관세때 미국산 수입품에 보복 관세 부과
34% 관세 부과 시작되는 9일 보복 조치 내놓을 듯

트럼프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전세계 국가를 대상으로 한 상호관세를 발표하며 들고나온 국가별 상호관세 차트. 연합뉴스트럼프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전세계 국가를 대상으로 한 상호관세를 발표하며 들고나온 국가별 상호관세 차트.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중국에 대해 34%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자 중국이 보복 조치를 예고하며 반발하고 나섰다.

중국 상무부는 3일 대변인 명의 성명을 통해 "중국은 이에 대해 단호히 반대하며, 자국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단호히 반격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변인은 "미국 측은 국제 무역에서 손해를 입었다고 주장하며, 이른바 '상호'를 이유로 모든 무역 파트너에 대한 관세를 인상했다"면서 "이러한 행위는 수년간 다자간 무역 협상에서 도출된 이익 균형 결과를 무시하고 있으며, 또한 미국 측이 오랫동안 국제 무역에서 막대한 이익을 얻고 있다는 사실도 무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미국은 주관적이고 일방적인 평가를 바탕으로 소위 '상호 관세'를 도출했으며, 이는 국제 무역 규칙에 부합하지 않고 관련 당사자의 정당하고 합법적인 권익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전형적인 일방적 괴롭힘 행위"라고 지적했다.

이어 "역사가 증명하듯이, 관세 인상은 미국 자체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며, 이는 미국 자신의 이익을 해칠 뿐만 아니라 글로벌 경제 발전과 생산 및 공급망의 안정을 위협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무역전쟁에는 승자가 없고, 보호무역에는 활로가 없다"며 "중국 측은 미국 측에 즉시 일방적 관세 조치를 철회하고, 무역 파트너와 평등한 대화를 통해 분쟁을 적절히 해결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연합뉴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연합뉴스
중국은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합성 마약 '펜타닐' 유입 문제를 이유로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두차례에 걸쳐 10% 씩 모두 20%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을 때도 보복 조치를 취한 바 있다.

중국은 지난달 10일부터 미국산 닭고기·밀·옥수수·면화에 15%, 수수·콩·돼지고기·소고기·수산물·과일·채소·유제품에 10%의 추가 관세를 각각 부과했다.

또, 지난 2월 10일부터는 미국산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에 15%, 원유와 농기계, 대배기량 자동차 및 픽업트럭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중국은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가 시작된 시점에 보복 관세 부과 계획을 밝힌 뒤 6일 뒤 시행에 들어갔다. 따라서 중국에 대한 34%의 상호관세 부과가 시작되는 오는 9일쯤 중국 역시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 계획을 밝힐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은 이밖에도 텅스텐과 텔루륨, 비스무트, 몰리브덴, 인듐 등 핵심 원자재에 대한 수출 통제 조치를 시행하는가 하면 미국 기업들을 '신뢰할 수 없는 기업 리스트'에 올려 제재하는 등의 보복 조치도 취하고 있다.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장관)은 지난달 6일 기자회견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에 대해 "중국은 필요한 대응 조치를 취했다"면서 "미국이 더 잘못된 길로 간다면 중국은 끝까지 싸울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1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