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교육

    떠난 이유 달라도‥모두 '학교 부적응자'

    [노컷기획-잊혀진 아이들, 학교 밖 청소년②] 학업중단 사유, 정확할까

    하루 평균 165명의 학생이 학교를 떠나고 있다. 이렇게 누적된 전국의 학교 밖 청소년 수는 기관에 따라 17만 명에서 많게는 36만 명으로 추정된다.

    제각각 추정치만큼 이들의 '학업중단 이후'의 삶 역시 제대로 알려지지 않고 있다. 대안교육기관이나 유학, 교정시설 등을 통해 일부나마 '드러나는' 아이들은 전체의 절반이 채 안 되는 실정이다.

    나머지 아이들은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을까.

    CBS 노컷뉴스는 학교를 떠난 뒤 잊힌 아이들을 찾아 직접 이야기를 들어봤다. 외부에 비춰진 것이 아닌, 아이들 스스로 꺼낸 '학교 밖 청소년'의 모습과 고민들을 7차례에 걸쳐 싣는다. [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1. "교문 나선 순간부터 '투명인간' 된 우리들"
    2. 떠난 이유 달라도‥모두 '학교 부적응자'
    3. "학교 싫어 그만둔 아이들? 절반은 쫓겨난 아이들"
    4. "우리도 공부하는데"‥학업중단이라는 '낙인'
    5. 시설은 기다리고, 아이들은 모르고‥'엇박자' 지원
    6. 학교 밖 세계도 '양극화'
    7. "우리에게도 '재기의 기회'를 주세요"



    (이미지비트 제공/자료사진)

     

    아이들은 학교를 떠나고 이 같은 질문과 시선을 많이 받았다고 했다. "그렇게 공부가 싫었어?"

    그러나 아이들이 머뭇거리며 털어놓은 이야기에는 훨씬 복잡한 상황과 고민이 담긴 경우가 많았다.

    ◈ 아이들이 말하는 '내가 학교를 떠난 이유'

    # 태우(가명·18)는 중학교 3학년 때까지 태권도 선수였다. 지금까지 해본 일 중에 가장 '재미있었던 일'이었다고 했다.

    하지만 아버지가 갑자기 심장마비로 돌아가시면서 모든 것은 달라졌다. 몸도, 마음도, 집안사정도...훈련에 소홀해지면서 코치의 다그침도 늘었다.

    7월, 도복을 벗었다. 하지만 교실에서는 태우가 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없다. "갑자기 공부하려니까 재미도 없고, 책상에 엎드려 자기만 했어요."

    우여곡절 끝에 고등학교 진학은 했지만, 들어간 지 사흘 만에 자퇴서를 내고 돌아왔다. "시간이 아까운데... 뭘 해야 될지 모르겠어요." 태우는 하고 싶은 일을 아직 찾지 못했다.

    # "엄마아빠가 자주 싸웠어요. 엄마가 만날 '너 때문에 이혼을 못 한다'고 했어요. 제가 학교에서 '아빠 없는 애' 소리 들을까봐서요."

    민아(가명·19·여)가 학교를 그만둔 이유다.

    "학교 다니는 건 재미있었어요. 공부는 잘 못했는데... 다니는 건 좋아했어요."

    담임선생님에게는 '진짜 이유'를 말하지 못했다고 했다. "선생님이 절 안 좋아했어요. 왜냐고 물어보시기에 '그냥요'라고 했는데 더 이상 묻지 않으셨어요."



    # 경수(가명·19)는 중학교 2학년 때부터 학교폭력 피해를 입었다.

    "애들이 천 원을 빌려달라고 해서 빌려줬는데 천 원이 만 원이 되고 십만 원이 되고..."

    어느 날 아이들은 백만 원을 가져오라고 했다. 경수는 선생님에게 알렸다. 선생님은 애들을 불러 때렸다. 그날 애들은 경수를 불러 때렸다. 고등학교 갈 때까지만 꾹 참자고 생각했다.

    고등학생이 되는 날, 경수는 절망을 느꼈다. 아이들과 같은 학교를 배정받은 것. 3학년 내내 끌려 다니다보니 성적이 비슷했다고 했다. 경수는 자퇴서를 썼다.



    태우와 민아, 경수의 자퇴 사유는 모두 '학교 부적응'으로 기록됐다.

    ◈ '현실과 동떨어진' 학업중단 사유…대책으로

    정부가 조사한 고등학생 학업중단 사유의 절반 이상은 '부적응'이다.

    2014년 교육부 현황 자료를 보면, 전국의 학업중단 고교생 3만382명 중 절반이 넘는 1만5,672명(51.6%)이 '부적응'을 이유로 학교를 그만뒀다.

    퇴학을 당한 788명(3.2%)은 포함되지 않은 수치다.

    조기진학·종교·방송활동 등 '자발적 의지'의 학업중단과 해외출국자, 가사문제와 질병으로 인한 중단은 별도로 나뉜다.

    '부적응'이라는 사유는 학업중단의 책임을 '학생 개인'에게 있는 것으로 보는 관점이라고 일부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그마저도 세부적인 원인 분석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은 더 큰 문제다.

    교육부 현황 자료상 부적응 학생의 91%는 '학업 관련' 또는 '기타' 이유로 학교에 적응하지 못한 것으로 돼있다.

    대전의 경우 528명 중 507명, 96%가 역시 '학업 관련' 또는 '기타' 사유로 적응하지 못했다.

    '기타'는 학교 부적응 사유가 학업과 관련된 문제도, 대인관계도, 학교규칙도 아닌 경우인데 사실상 무엇 때문인지 자료상으로는 알 수 없는 것이다.

    나머지 조사지표상 세부 사유인 학업 관련·대인관계·학교규칙 등도 구체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전문가와 현장 활동가들은 아이들의 학업중단이 하나의 요인이 아닌 복합적인 문제에 의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는 점, 해당 사유가 학업중단의 직접 원인일 수도 있지만 다른 원인에 의한 '결과'일 수도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김원세 대전이동일시청소년쉼터 소장은 "학업중단에 대해 개인적인 사정이나 성향, 가정문제 등 단순하게 접근하는 경향이 있다"며 "무엇 때문에 학교를 그만두는지에 대한 심층 분석은 물론, 학교 밖으로 나오는 친구들의 다양성을 인정해주고 조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매년 교육부가 조사하는 현황 자료는 정부 대책 마련의 기초가 되고 있다.

    ◈ '또 다른 사각지대' 장기결석자

    자퇴 또는 퇴학 처분이 되는 고등학교와 달리, 의무교육에 해당하는 초·중학교의 경우 일정 기간 학교에 나오지 않을 경우 '장기결석자'로 기록되고 해당 학생은 학업유예 상태가 된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