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항공 실종사건과 관련해 수사 선상에 올랐던 도난 여권 소지자 1명이 정치적 망명을 모색하던 10대 이란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 실종 여객기가 항공관제 레이더에서 사라진 뒤 기내 통신기기와 추적장치 등을 모두 끈 상태로 무려 1시간 이상 서쪽으로 비행했다는 말레이시아군 당국의 관측이 공개됐다.
이에 따라 도난여권 소지자의 테러 가능성에 초점이 맞춰졌던 말레이시아항공 실종사건 수사가 새로운 국면을 맞은 가운데 조종사의 자살 가능성 등이 제기되는 등 무성한 추측이 이어지고 있다.
관련 기사
여객기 실종사건을 수사중인 말레이시아 당국은 11일 도난 여권을 소지한 탑승자 2명 가운데 1명이 이란 국적의 푸리아 누르 모하마드 메흐르다드(19)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칼리드 아부 바카르 말레이시아 경찰청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이란인 탑승자가 테러단체의 조직원으로 보이지는 않는다"면서 당시 독일로 입국하기 위해 사고기에 탑승한 것같다고 설명했다.
칼리드 청장은 나머지 1명에 대해서도 조사를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최근 2년 사이 태국에서 도난당한 이탈리아와 오스트리아인 여권을 이용해 사고기에 탑승한 것으로 알려져 테러 의혹을 받아왔다.
수사당국은 그러나 여객기 납치 가능성에 대해서도 여전히 수사를 진행중이라고 밝혀 테러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음을 시사했다.
당국은 항공기 납치와 사보타주 외에 승객·승무원들의 심리적 문제와 이들의 개인 신상문제 등 모두 4가지 가능성에 대해 철저한 수사를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칼리드 청장은 이를 위해 승무원은 물론 승객들의 경력까지 면밀히 들여다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말레이시아 군당국은 실종 여객기가 레이더 화면에서 사라진 뒤 기수를 서쪽으로 돌려 말라카해협까지 무려 1시간 이상 비행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군 당국의 발표가 사실이라면 실종 여객기는 통신장치와 추적 시스템을 끈 상태로 약 500㎞를 비행한 셈이라고 로이터통신이 전했다.
이번 발표는 특히 사고기의 회항 흔적이 발견됐다는 말레이시아 공군 측의 종전 관측과도 일치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이에 앞서 말레이시아 항공당국은 실종 여객기 MH 370편이 쿠알라룸푸르를 이륙, 중국 베이징으로 출발한 지 약 1시간만에 사라졌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대해 미국의 한 항공관리는 실종 여객기 조종사의 자살 가능성에 주목했다고 워싱턴포스트가 이날 전했다.
이 관리는 사고기 실종 당시 기내의 이상 현상을 시사하는 어떠한 무선송신도 없었다면서 이런 가설을 내놨다.
한편, 실종 여객기 수색에 나선 베트남과 말레이시아 당국은 수색 범위를 사고기가 사라진 지점에서 반경 약 185㎞로 확대, 대규모 수색작전을 벌이고 있다.
보반 뚜언 베트남 인민군 참모차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사고기 기체 수색에 성과가 없다며 수색 범위를 사고기의 예상항로 동쪽 부분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말레이시아 당국은 전날 수색 대상해역을 대폭 확대하고 육지에서도 수색을 실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말레이시아 민항청은 자국 해역과 베트남 영해 중간 수역 외에 말레이시아 본토와 서부 해안에 대해서도 수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수색 활동에 시간제한을 두지 않기로 하는 등 최악의 상황에 대비하고 있다.
또 미국은 부근해역에 알레이버크급 유도 미사일 구축함 '핀크니'를 급파한 데 이어 같은 급의 구축함 키드를 파견, 수색작업을 지원할 예정이다. 키드에는 수색구조용 헬리콥터 MH-60R 2대가 탑재돼 있다.
중국 함정 미안양호 역시 사고해역에 도착한 데 이어 추가로 3척의 중국 함정이 수색에 합류했다.
사고해역에는 베트남 해군 함정 8척과 항공기 2대, 연안경비대 선박 2척을 비롯해 모두 10개국 소속 항공기 34대와 선박 40척이 수색을 벌이고 있다.
특히 유엔 핵실험 감지기구도 여객기 실종 인근지역에서 폭발이 있었는지 조사에 착수했다고 AP가 보도했다.
라지나 저보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기구(CTBTO) 사무총장은 산하 관측소 전문가들에게 말레이시아 항공기가 실종된 높은 고도에서 폭발이 있었는지를 알아보라고 지시했다고 이 통신은 전했다.
CTBTO는 전 세계 200여 곳에 관측시설을 두고 지진파나 사람 귀에 들리지 않는 극저음역대의 초저주파 분석 등을 통해 대규모 폭발을 감지, 핵실험 여부를 감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