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사설] 일자리 확충 시급한 고령화 사회



칼럼

    [사설] 일자리 확충 시급한 고령화 사회

    • 2014-09-29 16:12
    (자료사진)

     

    우리나라 인구 10명 중 1명 이상이 고령층이고 절반 이상이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고령층 인구는 638만 6,000명으로 전체 인구의 12.7%를 차지했다. 해마다 급격히 늘어나는 이 같은 고령층 인구 비중이 2026년에는 20%에 이르러 초고령화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12년 뒤면 인구 5명 중 한 명이 고령자인 사회가 된다는 것이다.

    기대수명이 갈수록 늘어나고 출산율이 밑바닥인 상황에서 고령화 사회는 비단 우리만의 특수한 상황이 아닌 세계적인 추세이다. 하지만 이 같은 흐름을 준비하고 받아들일 태세가 제대로 되지 않고 않다는 데 문제가 있다. 경제적 어려움과 건강 문제, 여기에 외로움까지 겹쳐 불행한 노후를 맞을 수밖에 없는 게 지금의 당면한 현실이다. 실제로 고령자의 빈곤율은 48.1%로 전체 빈곤율의 3배를 넘고 있다. 노후를 준비하거나 준비돼 있다는 고령자 가구는 44.9%에 불과했다. 연금 수령자의 비율도 절반에 미치지 못했는데 그나마 월 50만 원 이상 연금을 받는 사람은 20%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런 팍팍한 노후현실이 정년을 무색하게 만들었다. 현역에서 은퇴한 이후 안락한 노후생활은커녕 생계를 위해 또다시 일자리를 찾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 60대(60~64세)와 20대의 고용률을 역전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60대 고용률이 20대를 웃돈 것은 1963년 통계 작성 이래 처음이라고 한다. 음식점이나 치킨집 같은 자영업 창업이 급증하고, 3년이 지나면 60%가 문을 담는다는 통계도 이런 세태를 반영한다.

    고령화 사회와 노인빈곤은 이제 우리 사회의 발등에 떨어진 불이다. 더욱이 베이비부머 세대(1955~1963년 출생) 712만 명이 이미 은퇴 대열에 합류하기 시작했다. 자녀를 양육하고 부모를 부양하면서 모아 놓은 재산 없이 또 다시 스스로 노후를 준비해야 하는 딱한 처지에 놓였다.

    단기간에 해결될 문제가 아니지만 장기적인 안목에서 세밀하게 정부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지금의 은퇴 연령은 추세로 볼 때 아직은 일할 수 있는 충분한 여건을 갖추고 있는 만큼 사회적 합의를 통해 지속적인 정년 연장 추진과 함께 경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질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려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과거의 경험과 경력이 조기에 도태되는 것은 국가적으로도 손해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