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의정부고등학생 일본제품 불매 선언 기자회견에 참석한 학생들이 손 피켓을 들고 있다. (사진=이한형 기자/자료사진)
일본 언론들이 연일 한국 불매운동을 폄하하거나 왜곡된 분석을 내놓으면서 반작용이 일어나고 있다. 의류 브랜드 유니클로 사태처럼 오히려 불매운동 장기화를 촉발하는 모양새다.
일본 수출규제에 맞서는 불매운동은 자발적인 시민운동이라는 점에서 일본 언론사들의 집중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런데 일부 언론사들은 이 불매운동의 원인을 사실과 다르게 보도했다.
요미우리신문은 31일 '취업난인 한국 청년들이 불매운동에 참여하기도…이례적인 장기화 양상'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게재했다.
이 기사는 불매운동의 결정적 계기로 '청년 실업'을 꼽았다. 일본 수출규제가 반도체라는 한국의 주력 산업을 강타해, 가뜩이나 취업난에 시달리는 청년들이 고용 감소를 두려워해 이 같은 운동에 참여했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보수 언론 산케이신문은 27일 칼럼을 통해 한국 불매운동이 모순적이라고 비판했다. 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 속 일본 브랜드 위치와 방송사들이 사용하는 카메라 등을 그 이유로 들었다.
산케이신문은 "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 공식 스폰서인 '니콘'과 '야쿠르트' 등 대형 브랜드 광고가 수영장 주변 가장 좋은 위치에 나와있다"면서 "경기장에는 객석을 채우기 위해 동원된 학생들이 보인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교사들이 일본 제품 불매를 선동하고 있다고 들었는데 혼란스러울 것"이라고 이야기했다.
그러면서 "불매운동을 선동하고 있는 TV 방송사들은 각종 애국-불매 퍼포먼스를 거창하게 소개하고 있지만 그 반일 풍경을 촬영 중인 카메라가 대부분 '소니'라서 안타깝다"라고 꼬집었다.
온라인매체인 '뉴스 포스트 세븐'도 같은 날 한국의 불매운동이 '퍼포먼스'에 불과하다고 보도했다.
전 아사히신문 서울 특파원의 말을 인용해 1965년 한일회담을 시작으로 한일 간 문제가 생길 때마다 불매운동이 일어났지만 일시적 현상에 그쳤다고 분석했다.
이 특파원은 "다케시마(독도), 역사 교과서, 위안부, 정치가 실언 등 문제가 생길 때마다 한국에는 불매운동이 반복됐다. 그래도 50년 이상 한국인들은 일본 제품을 애용하고 있다. 불매운동은 일종의 퍼포먼스"라고 이야기했다.
뉴스 포스트 세븐은 여기에 "일본 제품 때리기에 열중하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냉소적으로 보거나 비난의 목소리를 내는 한국인도 다수 보였다. 그만큼 한국인은 일본을 좋아하는 것"이라고 의견을 더했다.
현실적으로 '일본산 제품'은 한국인의 생활과 떼려야 뗄 수 없다며 카메라, AV(성인 비디오) 등은 '불매'가 불가능하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뉴스 포스트 세븐은 익명의 한국 언론인 인터뷰를 인용해 "불매운동에 혈안이 되는 한국인도 카메라에 대해서는 무시하고 있다. 불매운동 모습을 한국인이 일제 카메라로 촬영하는 장면을 자주 볼 수 있다"라고 알렸다.
한 주한 저널리스트 역시 "한국은 유교국가라 성인 비디오에 엄격할 것 같지만 인터넷에서 쉽게 볼 수 있다. 인기 여배우인 미카미 유아는 한국에서 '허니팝콘'이라는 케이팝 그룹으로 활동하고, 일본이 수출규제 강화에 나선 다음 날인 5일에 방한해 콘서트를 했다. 한국 남자들은 열렬히 환영했다고 한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일본 언론사들의 이 같은 보도가 오히려 '반일' 감정을 극대화시키는 촉매제가 되고 있다. 국민 감정이 악화되면 정치적 관계가 회복된다고 하더라도 그 여파가 길게 가는 탓이다.
하재근 대중문화평론가는 "불매운동을 폄하하거나 엉뚱하게 왜곡 보도를 하면 자극 받은 국민들 공분이 커지면서 불매운동이 더 강하게 장기화되는 영향을 주게 된다. 불매운동 에너지를 계속 제공해주는 격"이라며 "악화된 국민 감정은 회복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다. 한일 우호관계가 다시 형성되기까지 심각한 저해요인이 될 가능성이 높다"라고 진단했다.
국내 언론들에 대해서는 "일본 언론들도 당연히 문제지만 국내 언론들도 싸움을 부추기는 방식의 보도는 자제할 필요가 있다"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