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 발전 전략. 경남도청 제공경상남도가 지역 발전의 '균형추'를 맞추고자 상대적으로 낙후된 '서부경남'을 우리나라 남부권 중심도시로 성장시킨다.
19일 도에 따르면, 서부경남 10개 시군 중 진주와 사천을 제외한 나머지 8곳은 인구 감소 지역으로 분류된다. 특히, 산청·합천·남해·의령·함양·고성 등 6개 군 지역은 소멸위험지역 중에서도 고위험군에 속한다.
정부도 동부인 밀양·함안·창녕을 포함해 서부권인 고성·남해·산청·하동·함양·합천 등 11곳을 인구감소 지역으로 지정하고 지원에 나선다.
이대로 두면 서부경남은 성장의 기반인 인구 감소로 사라질 수밖에 없다. 이에 도는 서부경남을 새로운 산업 경제와 인재가 어우러지는 도시공간으로 만들 계획이다.
10개 시군을 3대 권역으로 나누는 한편 부울경 메가시티와 연계한 6개 산업벨트를 구축해 집중적으로 발전시킨다는 전략이다.
우선 지리적으로 가까운 시군을 3대 권역으로 묶어 관련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한다.
스마트이미지 제공'남중중추도시권'인 진주·사천·고성·의령에는 플라잉모빌리티, K-아르테미스 전진기지(미국 항공우주국의 달 유인 탐사프로젝트) 등을 조성하는 한편, 경남 e-스포츠 상설 경기장 건립 등 게임 산업도 육성한다.
앞서, 도는 우리나라의 항공우주산업 중심지인 서부경남에 4조 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해 '세계 7대 항공우주산업 중심지'로 만든다는 목표를 세웠다.
산청·함양·거창·합천인 '백두대간 산악도시권'은 남부권 내륙물류허브, 세계승강기허브도시, 지리산권 약초유통센터 등을 구축해 관련 산업을 육성한다.
'남해안 남중도시권'은 남해와 하동이 속한다. 남해-여수 해저터널 조기 착공, CO2 포집·활용·저장 기술 실증사업 등을 추진해 지역 발전을 끌어낸다.
새로 구축하는 6개 산업벨트는 서부경남 기존 중심 산업뿐만 아니라 부울경 등 광역 단위로 연계하는 산업으로 묶었다.
경남혁신도시. 경남도청 제공서부경남 대표인 항노화 산업을 매개로 한 '스마트 그린바이오벨트'은 함양·거창 등 서북부로부터 진주·하동까지 광범위하게 조성한다.
지금까지 단순한 생산 중심의 항노화 산업을 첨단기술이 접목된 스마트 그린바이오 중심으로 전환해 경쟁력을 갖춘다는 전략이다.
경남혁신도시에 국토안전실증센터를 설치하고 안전기술산업의 거점으로 성장시키고자 '첨단 안전산업 협력벨트'도 구축한다.
광역 단위와 연계하는 '국가혁신벨트'는 부울경 혁신도시에 있는 이전기관·지역대학·기업을 신산업 생태계로 묶었다. 인재 유출 방지는 물론 우수한 일자리를 제공한다는 목표다.
부울경 우수한 관광 자원을 공동으로 활용하기 위해 '남부권 광역관광벨트'를 구축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나선다.
수소산업 중심지인 경남을 비롯한 울산·부산의 각종 인프라를 활용한 기능과 역할을 전문화하고자 '부울경 수소통합경제벨트'도 만든다. 동남권 그린수소항만 조성 등 서부경남을 탄소중립 사회로 전환한다.
남부내륙고속철도 노선도. 경남도청 제공경남·부산·전남과 연계하는 '첨단소재벨트'는 3개 지역의 특화산업과 연계해 연구개발, 기반구축, 사업화 지원을 동시에 추진한다. 국가적인 탄성소재 산업 생태계 육성으로 해외 선진국에 의존하는 고기능 탄성 소재의 국산화를 이뤄 첨단 탄성 소재 강국으로 만든다는 전략이다.
남부내륙고속철도·달빛내륙철도·남해안고속화철도 등 광역 철도망은 물론 도로망을 확충해 부울경 내 1시간 권, 전 국토의 2시간 생활권 형성에 나선다.
교통망 구축으로 내륙과 해양의 접근성 향상, 사람과 물류 기능 확대, 관광객 증가 등으로 서부경남 발전은 물론 인구도 늘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주중 5일은 도시에서 일하고 주말 2일은 시골에서 지내는 '5도 2촌', 절반은 농사를 짓고 절반은 자신이 하고 싶은 일(X)을 병행하는 삶의 문화인 '반농반X'와 같은 사회 현상을 반영해 서부경남을 살고 쉬며 일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든다.
남해 다랭이마을. 경남도청 제공도는 올해 초 서부경남에 70조 원을 들여 15개 선도사업을 포함해 모두 216개 미래 먹거리 사업을 중·장기적 과제로 추진한다는 전략을 발표했다.
경남도 김영선 서부정책과장은 "광역 교통망 개선과 함께 서부경남 전역이 함께 성장하고 연계하는 구체적인 실행 계획이 수립 중"이라며 "서부경남이 새로운 국가균형발전의 모델이 될 수 있도록 공간 창출을 위한 전략들을 빈틈없이 추진하겠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