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평화당 제공)
민주평화당이 정의당과의 공동교섭단체 재구성을 위한 두 번째 의원총회에서도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평화당은 9일 저녁 비공개 의총을 열고 지난 5일에 이은 정의당과의 공동교섭단체 재구성 여부를 놓고 토론을 벌였다.
바른미래당 당적을 가진 채 평화당에서 활동 중인 장정숙, 박주현 의원을 비롯해 총 16명의 의원 중 13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번 토론은 지난 5일 15분 보다 훨씬 긴 2시간여 동안 진행됐다.
당초 평화당 내에서는 이날 끝장토론을 벌여서라도 결론을 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었다.
평화당 최경환 원내수석부대표는 의총 종료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교섭단체 문제는 이견이 있어 시간을 갖고 논의를 계속 하기로 했다"며 "총선이 1년 남은 시점에서 평화당이 앞으로 당의 확장과 대안 정치 세력을 어떻게 만들 것인지 이 방향에서 논의를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사안이 중대해 시간을 갖고 논의하겠다고 했지만 교섭단체 재구성에 대한 당론 통일은 좀처럼 쉽지 않을 전망이다.
정동영 대표를 중심으로 한 자강파는 현재 평화당의 모습에서 최대한 자생력을 발휘해 교섭력을 확보하고 총선도 준비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박지원, 장병완, 최경환 등 다른 의원들은 국민의당 출신 바른미래당 의원과 무소속 등 다른 호남계 의원들과의 연합을 통해 총선 동력을 발휘할 제3지대 구축론에 힘을 실으며 평행선을 긋고 있다.
평화당 장병완 원내대표는 교섭단체 재구성 가능성을 묻는 기자의 질문에 "같이 교섭단체를 했던 당에서 정식 요청이 있었던 문제이니 좀 더 만나서 설득해보고 이런 과정을 한 번 해봐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이야기가 있었다"면서도 "지금으로 봐서는 쉽지 않다"고 토로했다.
다만 최 원내수석은 "교섭단체 문제로 의견이 나뉘어졌지만 '당이 분열된 모습을 보이면 안 된다. 작지만 단단히 뭉쳐야 한다'고 모든 의원들이 강조했다"며 총선까지 당내 분열 우려는 없을 것임을 강조했다.
이어 "당면한 긴급 현안 문제로 선거제 패스트트랙에 대해 청와대와 민주당에는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하라는 바른미래당의 주장을 수용하고, 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에게는 선거제 패스트트랙 절차를 결단해 줄 것을 촉구하기로 했다"며 선거제 개편 패스트트랙에 대해서는 일관된 입장으로 민주당과 바른미래당의 대승적 결단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