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홍콩 빅토리아 공원에서 열린 '송환법 반대 집회'에 참석한 홍콩 시민들 (사진=김중호 특파원)
18일 홍콩에서는 비가 오는 와중에도 170만 시민이 거리로 나와 범죄인인도법(송환법) 반대와 경찰의 폭력적인 진압을 규탄했다. 다만 우려했던 바와 달리 경찰과 물리적 충돌은 빚어지지 않았고 중국군 역시 홍콩에 진입하지는 않았다.
이날 시위는 그동안 홍콩의 대규모 시위를 주도하고 있는 민간인권전선이 예고한 바 있다. 홍콩섬 코스웨이베이에 있는 빅토리아 공원에서 열렸는데, 최근 연일 시위대와 경찰이 충돌하며 위험한 상황이 계속되자 시위 참가자가 줄어들면서 민간인권전선측도 위기감을 느끼고 있었다.
하지만 이날 집회가 열린 빅토리아 공원에는 집회 시작 1시간 전부터 검은 옷을 입은 시위대가 몰려들면서 지난 6월 16일 200만 홍콩시민이 참가했던 시위 때를 연상케 했다. 이날 집회에는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다양한 연령과 계층의 사람들을 찾아볼 수 있었는데, 특히 궂은 날씨에도 자신의 아이들을 데리고 나온 부모들이 눈에 많이 띄었다.
시위대는 한 목소리로 송환법 철폐와 시위 구속자 석방 등을 요구했다.
시위대는 집회를 마친 오후 3시 30분(현지시간)쯤부터 홍콩섬의 중심인 센트럴을 향해 가두 행진에 나섰으며 저녁 8시 무렵 대부분 해산했다. 민간인권전선측은 이날 하루 170만명의 시민들이 시위에 참가했다고 밝혔다.
18일 홍콩 빅토리아 공원에서 열린 '송환법 반대 집회'에 참석한 홍콩 시민들 (사진=김중호 특파원)
◇ 18일 시위는 최근 집회와 달리 시종일관 평화적으로 진행이날 집회는 최근 집회와 분위기가 많이 달랐다. 집회를 개최한 민간인권전선측이 먼저 평화와 비폭력을 전면에 내세웠다. 노약자들의 시위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평화와 비폭력 집회를 강조한 것은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홍콩에 인접한 중국 광둥성 선전(深圳)에 집결한 무장경찰 병력 투입가능성이 있는 점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라는 관측이 있다.
시위대가 한층 조심스러워진 것은 하루 전날인 토요일 집회에서도 느낄 수 있었는데, 토요일 시위대는 몽콕 경찰서에 찾아가 소란을 피웠지만 경찰이 나서자 해산하며 직접적인 충돌을 피하는 모습이었다.
홍콩 경찰도 전과 달리 18일에는 시위대의 가두행진을 불허했음에도 시위대가 집회가 끝난 뒤 행진을 시작했지만 이를 막지는 않았다. 결국 이날 시위는 양측이 별다른 충돌 없이 끝났는데, 이렇게 평화적으로 시위가 끝난 것은 4주만의 일이다.
18일 홍콩 완차이 지하철역 부근에서 센트럴 방연으로 행진하고 있는 송환법 반대 시위대 (사진=김중호 특파원)
◇ 홍콩 시민들, 홍콩 정부 불신에 경찰의 폭력진압 불만 커
홍콩 시위가 11주째 이어지고 있는 것은 무엇보다 홍콩 정부에 대한 크나큰 불신 때문이다. 캐리람 행정장관은 송환법이 다시 논의되는 일이 없을 것이라며 사실상 소멸 상태에 들어갔다고 말했는데 이를 믿지 않고 있는 것이다. 50대 시위 참가자는 "저는 홍콩 시민들을 지원하기 위해 오늘 집회에 왔다. 송환법은 나쁜 것이다. 철회해야 하는데 정부는 그저 연기하려고만 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경찰의 폭력적 진압에 대한 불만도 컸다. 시위대는 홍콩 경찰이 먼저 시위대에 폭력을 행사했으며 시위대를 진압한 경찰에 대한 수사가 진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위가 11주째 이어지면서 가장 큰 관심이 쏠리는 부분은 중국 정부가 홍콩 시위에 대해 무력진압에 나서느냐 여부인데, 홍콩 젊은이들은 올테면 오라며 괘념치 않겠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20대 리 모씨는 "중국군이 들어온다고? 제발 그래줬으면 좋겠다. 군이 들어온다면 나는 죽거나 집으로 돌아가 잠이나 자고 있을 것"이라며 "그들이 두렵지 않다"고 외쳤다.
시위대는 홍콩 정부가 송환법을 완전 폐기하고 구속된 시위대를 석방할 것을 요구하고 있어, 시위 사태는 계속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18일 집회는 시위대와 경찰 모두 자제하며 충돌없이 마무리됐지만, 앞으로 폭력시위가 재발할 경우 이를 빌미로 한 중국의 무력 진압에 대한 우려는 가시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