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시진핑 G20 정상회의에 대타 왕이 투입…21개월간 중국에서 두문불출

시진핑 G20 정상회의에 대타 왕이 투입…21개월간 중국에서 두문불출

핵심요약

다음달 1일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정상회의도 불참 가능성
2020년 1월 이후 중국 밖으로 나간 적 없어
해외 방문해 봤자 융숭한 대접 기대하기 어려워
신장, 홍콩, 대만 등 곤란한 질문만 받을 수도
장기적으로는 손해…외교무대에서 중국의 영향력 약화

연합뉴스연합뉴스오는 30일~31일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을 대신해 왕이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이 참석할 것으로 보인다.
 
로이터통신은 26일(현지시간) 시진핑 주석이 G20 정상회의 현장에 참석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한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시 주석 대신에 왕이 외교부장이 G20 정상회의에 참석할 것으로 보이는데 그는 27일부터 29일까지 그리스와 세르비아 알바니아를 순방할 예정이다.
 
시 주석이 G20 정상회의에 불참하면서 다음달 1일부터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리는 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 정상회의에도 참석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영국 언론은 이미 시 주석의 불참 가능성을 보도한 바 있다.
 
시 주석이 코로나19 유행 이후 속속 재개되고 있는 다자외교 무대에 불참하면서 그 배경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시 주석은 코로나19 유행 이전인 지난해 1월 미얀마를 방문한 이후 21개월 동안 중국을 한 번도 떠나지 않았고, 3월에 베이징에서 파키스탄 대통령을 접견한 이후에는 그 어떤 정상과도 직접 만난 적이 없다.
 
왕이 중국 외교부장. 박종민 기자왕이 중국 외교부장. 박종민 기자
월스트리트저널(WSJ)는 최근 시 주석이 다른 나라를 방문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코로나19 이후 나빠진 대외 이미지 때문에 '레드 카펫' 대우를 기대할 수도 없고 신장, 홍콩, 대만 정책 등에 관한 불편한 질문을 피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또 중국 경제가 위축되면서 예전처럼 순방 연설에서 중국의 수입 능력과 투자력에 대해 과시할 수 있는 처지도 아니라고 꼬집었다.
 
시 주석의 대면 정상외교 회피는 보이지 않는 손실을 수반할 수 있다. 홍콩침례대학의 장 피에르 카베스탄 교수는 "이는 중국의 소프트 파워와 세계에 대한 메시지를 약화시키고 외교무대에서 중국의 영향력을 약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WSJ는 시 주석이 해외 순방을 재개할 경우 최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국가로 러시아를 꼽았다. 모스크바가 중국 역대지도자들의 최고 목적지였고 시 주석도 코로나19 이전에는 거의 매년 러시아를 방문했다. 시 주석은 2019년에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가장 친한 친구라고 불렀다.
 
이 같은 전망은 코로나 상황이 안정되면 최우선적으로 방문할 국가로 한국을 꼽고 있는 일부 분석과 차이가 난다.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