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물가 못 따라잡는 월급…금융위기 이후 최대 격차

월급 2.8% 느는 동안 물가 3.6% 올라

연합뉴스연합뉴스
근로자 월급 상승세가 2년 연속 둔화한 반면 소비자 물가는 고공행진하면서 상승률 격차가 금융위기 이후 최대 폭으로 벌어졌다. 근로자 세금 부담은 소폭 감소했지만 혜택은 주로 최상위 소득자에 돌아갔다.
   
3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임광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에서 제출받은 연도별 근로소득 천분위 자료에 따르면 최근 집계된 2023년(귀속연도) 1인당 평균 근로소득(총급여 기준)은 4332만원이었다.
   
1년 전(4213만원)과 비교하면 2.8% 늘어난 수준으로, 코로나19가 본격화 한 2020년(2.3%)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이다.
   
근로소득 증가율은 2021년 5.1%까지 확대됐다가 2022년(4.7%)에 이어 2023년까지 2년 연속 둔화했다. 2.8%의 증가율은 최근 10년간 평균 증가율(3.6%)보다도 낮다.
   
근로자 월급이 사실상 횡보하는 동안 물가는 상승을 거듭했다. 소비자물가는 2022년 전년도보다 5.1% 상승한데 이어 2023년엔 3.6% 증가하며 2년 연속 큰 폭으로 올랐다.
   
물가보다 월급이 적게 오르면서 근로소득과 소비자물가 간의 상승률 차이는 -0.8%p를 기록했다. 2022년(-0.4%p)에 이어 2년 연속 마이너스다. 근로소득 상승률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밑돈 것은 2009년(-2.0%) 이후 2022년이 처음이고, 이후 차이가 더 커졌다.
   
2023년 근로소득자의 전체 세 부담은 전년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국회와 정부는 서민·중산층 세 부담 완화를 위해 5천만원 이하 하위 2개 구간의 과세표준을 상향 조정하는 등 세법을 개정했다.
   
이에 따라 2023년 1인당 평균 결정세액은 428만원으로 전년 대비 6만원(-1.4%) 감소했다. 다만 세 부담 완화 효과는 중·하위 소득자보다는 최상위 소득자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소득자 중 최상위 0.1% 구간 2만852명의 1인당 평균 근로소득은 9억6004만원이었다. 이 구간 1인당 평균 결정세액은 3억3290만원으로 전년 대비 1836만원 감소(-5.2%)했다.
   
반면 중위 50% 소득 구간 인원 20만8523명의 1인당 평균 근로소득은 3302만원이었다. 이 구간 소득자들의 1인당 평균 결정세액은 29만2054만원으로 전년 대비 0.9% 증가했다.
   
임광현 의원은 "2천만 근로소득자의 소득 증가세가 약해지고 물가를 고려한 구매력을 나타내는 실질소득의 마이너스 폭이 더욱 커지고 있다"며 "근로소득자의 소득향상을 지원하는 조세·재정정책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1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