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지난 12월 비상계엄 충격에 금융불안지수(FSI)가 급등해 2022년 레고랜드 사태(강원중도개발공사 자금경색 사태) 수준까지 치솟은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임광현 의원이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금융불안지수는 전월보다 1.1p 오른 19.2로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레고랜드 사태로 채권 시장에 대혼란이 벌어진 2022년 9월(19.7)과 비슷한 수준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11월(76.9)과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인 2020년 4월(25.1)보다 낮지만,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때인 2016년 12월(9.5)과 비교하면 두 배 이상 수치다.
금융불안지수는 한은이 금융과 실물 부문에서 나타나는 금융불안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 작성하는 종합지수다. 금융시장, 대외, 실물, 은행, 비은행 등 5개 부문별 20개 세부 지표를 반영하는데, 코스피와 환율 변동성뿐 아니라 신용부도스와프(CDS) 스프레드, 소비자심리지수, 교역 규모 감소율, 대출 연체율 등이 포함된다.
한은은 지난달 금융불안지수 급등에 주가 하락과 신용 스프레드 상승, 경제심리지수 하락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금융불안지수 12 이상은 '주의단계', 24 이상은 '위험단계'로 분류되는데, 현 수준은 주의단계에 해당한다.
임광현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한 2022년 5월(10.2)을 제외하고는 윤 대통령 임기 내내 지수가 12를 웃돌았으며, 평균 지수가 18.5에 달했다고 지적했다. 과거 박근혜 정부 때는 평균 지수가 11.1, 문재인 정부 때는 7.1에 그쳤다.
임 의원은 "계엄 사태가 금융시장과 실물경제에 미친 충격이 구체적인 지표로 처음 확인됐다"며 "정치 불확실성을 조속히 끝내고, 내수 활성화와 민생 안정을 위한 추가경정예산안 편성에도 정부가 적극 협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