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10년 뒤에는 5명 중 1명이 65세 이상



경제 일반

    10년 뒤에는 5명 중 1명이 65세 이상

    전체 인구 5명중 1명은 50~64세 '준고령자'

    (자료사진)

     

    전체 인구에서 50세~64세(준고령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2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 대다수가 65세 이상 고령자로 편입되는 2026년에는 65세 이상 인구(고령자) 비율이 전체 인구의 1/5을 넘는 초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 한국, 2026년 초고령사회 진입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14년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1955년에서 63년에 태어난 베이비부머세대를 포함한 50세~64세 준고령자는 1,05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20.8%를 차지했다.

    65세 이상 고령자는 올해 639만명으로 인구 비중이 12.7%지만, 베이비부머 세대가 노인인구로 편입되는 12년 뒤(2026년)에는 그 비중이 20%대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따라 현재는 생산 가능인구 5.8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하고 있지만, 2030년이 되면 노인 1명을 부양할 수 있는 생산가능인구는 2.6명에 불과해진다.

    멀리 갈 것도 없이, 불과 3년 뒤인 2017년이 되면 유소년 인구보다 고령인구가 더 많아지면서, 저출산 고령화 현상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날 것이라는 전망이다.

    가구 수 비중으로는 이미 올해 현재 65세 이상 고령가구 비중이 20%를 넘었다. 그리고 가구주 연령이 65세 이상이면서 혼자 사는 이른바 '독거노인' 가구수는 20년 뒤면 두 배로 늘어날 것으로 통계청은 추산하고 있다.

    고령층의 경제활동도 활발해져, 지난해 60~64세 고용률은 57.2%로 20대 고용률 56.8%를 추월했다. 이는 지난 1963년 경제활동인구조사를 시작한 이래 처음이다.

    ◈ 베이비부머, 기존 노인층과 성향 달라

    한편, 통계청은 이번에 베이비부머 세대가 주축인 준고령자들을 분석한 결과도 내놨다. 준고령자들은 현재의 고령층과는 성향이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