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탑골공원 앞 무료급식 기다리는 어르신들. 연합뉴스오는 2050년의 한국은 생산가능인구 4명당 65세 이상 노인 수가 3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됐다. 다시말해, 노동 인구 4명이 노인 3명을 부양해야 되는 나라가 되는 셈이다.
또한 그때쯤이면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고령화된 국가라는 타이틀도 동시에 거머쥘 것으로 보인다.
뉴욕타임스(NYT)는 16일(현지시간) 유엔의 세계 인구 통계 자료를 인용해 한국은 2050년 홍콩에 이어 세계에서 가장 고령화된 국가 2위를 차지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홍콩이 인구 790만명의 중국 자치도시라는 점을 감안하면, 사실상 한국이 세계 최고의 고령화 국가가 되는 것이나 다름 없다.
유엔의 인구 통계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생산가능인구는 올해 3600만명에서 2050년 2400만명으로 줄어드는 반면 65세 이상 노인은 950만명에서 1800만명으로 2배 가까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같은 기간 젊은이(15세 미만)는 580만명에서 380만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고령화 정도를 나타내는 한국의 생산가능인구 대비 65세 이상 노인의 비율은 올해 1/4에서 2050년에는 3/4까지 치솟는 것이다.
2050년 '늙은 국가' 순위는 홍콩, 한국의 뒤를 일본 이탈리아 스페인 대만 그리스 싱가포르 슬로베니아 태국 독일 중국 핀란드 네덜란드 캐나다의 순으로 이을 것으로 관측됐다.
일본 도쿄 시부야 거리 모습. 연합뉴스현재 최고령화 국가인 일본은 2050년에는 노인인구가 지금보다 200만명 증가하는 반면 생산가능인구는 1900만명 줄어 5300만명 수준이 될 전망이다.
출산율이 떨어지고 있는 중국은 2050년까지 생산가능인구가 현재보다 2억명 정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NYT는 "2050년 동아시아와 유럽의 일부 지역에서는 65세 이상의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40%를 차지할 것"이라며 "이처럼 엄청난 수의 은퇴자들은 부양하기 위해서는 다음 세대의 인구도 늘어야하는데, 반대로 크게 줄어들고 있는 것이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프랑스에서는 100년 이상, 미국에서 60년 이상 걸렸던 인구 변화가 동아시아에선 최근 20년 사이에 나타나고 있어, 추후 '사회적 갈등'으로 표출될 가능성도 적지 않은 것이다.
이에 따라 각국은 인구 변화에 대비한 적절한 정책을 마련해야한다고 NYT는 강조했다.
부유한 국가들은 복지와 경제력이 쇠퇴할 수 있는 만큼 연금·은퇴 연령 조정·이민 정책 등을 재고해야 한다는 것이다.
가난한 나라들의 경우 생산가능인구 증가가 경제발전의 동력이 될 수도 있지만, 적절한 교육이 뒤따르지 않을 경우 역효과를 낼 수도 있다.
2050년 가장 '젊은 국가'로 예측된 곳은 니제르, 콩고민주공화국, 소말리아,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앙골라 등 주로 아프리카에 몰려 있다. 이곳의 젊은 층이 직업과 교육의 기회를 얻지 못하면 좌절한 청년들이 범죄집단이나 무장 단체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