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광복절'에 만나야 할 일제강점기 '조선인' 다룬 다큐 영화 2편

문화 일반

    '광복절'에 만나야 할 일제강점기 '조선인' 다룬 다큐 영화 2편

    핵심요약

    오사카 방적 공장에서 일했던 조선 소녀들의 삶 담은 '조선인 여공의 노래'
    간토대학살 다룬 첫 다큐멘터리 영화 '1923 간토대학살'

    영화 '조선인 여공의 노래'와 '1923 간토대학살' 포스터. 시네마 달, ㈜영화특별시SMC 제공영화 '조선인 여공의 노래'와 '1923 간토대학살' 포스터. 시네마 달, ㈜영화특별시SMC 제공
    일제강점기 조선인들은 가족을 먹여 살리기 위해 일본의 방적 공장에서 일해야 했고, 또 다른 한쪽에서는 학살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1945년 8월 15일 우리나라가 일본으로부터 광복된 것을 기념하고,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수립을 경축하는 날인 '광복절'이다.
     
    오늘, 광복절 79주년을 맞아 우리가 몰랐던 그리고 우리가 기억해야 할 일제강점기의 역사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두 편을 소개하고자 한다.

    영화 '조선인 여공의 노래' 스틸컷. 시네마 달 제공영화 '조선인 여공의 노래' 스틸컷. 시네마 달 제공 

    열악한 환경에도 무너지지 않은 '영웅' 조선인 여공들

     
    일제강점기에 가족을 먹여 살리기 위해 바다 건너 오사카의 방적 공장에서 일했던 조선 소녀들의 삶과 노래를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 '조선인 여공의 노래'(감독 이원식)가 지난 7일부터 극장에서 관객들과 만나고 있다.
     
    20세기 초, 일제의 강제 침략으로 조선의 경제는 무너졌고, 10대 조선 소녀들은 가족의 생계를 위해 일본으로 돈을 벌러 떠났다.
     
    전 세계의 면 산업을 주름잡던 일본 오사카의 방적 공장에서 일하게 된 조선의 여공들은 일본인 여공들에 비해 열악한 대우와 환경에 노출돼 있었다.
     
    쉬지 않고 돌아가는 공장에서 2교대로 일하던 어린 여공들의 생활은 당연하게도 고단했다. 급료는 적었고, 식사는 볼품없었다. 폭력적이고 강압적인 작업장 분위기에 시달려야 했으며, 사랑하는 가족에게 편지를 보내는 일도 쉽지 않았다.
     
    하지만 조선인 여공들은 결코 우리가 생각하는 '불쌍한 피해자'가 아니었다. 오히려 주어진 환경에서 자신들의 운명을 스스로 개척한 '영웅들'이었다.
     
    여공들은 먹을 것이 없어 배고프면 일본인들이 '호루몬(오사카 사투리로 '쓰레기'라는 뜻)'이라고 부르며 쓰레기로 버리던 육류의 내장을 얻어와 구워 먹었다. 또, 글을 몰라 억울한 일을 당하면 서러워하는 데 그치지 않고 직접 야학을 열어 한글을 공부했다.
     
    그렇게 조선인 여공들은 쉽게 좌절하거나 포기하지 않았다. 그들은 노동의 고단함과 열악한 환경의 괴로움을 '조선인 여공의 노래'를 부르며 이겨냈다. "자 우리 여공들이여, 오늘 일과를 말해보자"로 시작하는 노랫말은 오늘날까지도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고 있다.
     
    영화를 연출한 이원식 감독은 "이 작품은 일제강점기 이민 1세대 여성 노동자들의 삶과 투쟁에 관한 이야기이며, 동시에 지금 이 시대 우리 세계의 이야기이기도 하다"라며 "왜냐하면 지금도 전 세계에는 침략과 전쟁, 그리고 그로 인한 분쟁과 가난으로 인해 많은 사람이 고향을 떠나 낯선 땅에서 살아가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영화 '1923 간토대학살' 스틸컷. ㈜영화특별시SMC 제공영화 '1923 간토대학살' 스틸컷. ㈜영화특별시SMC 제공

    1923년 9월 10일 관동대지진, 무고하게 학살된 조선인들

     
    광복절인 오늘 개봉한 영화 '1923 간토대학살'(감독 김태영, 최규석)은 조선인을 향한 대학살을 부정당한 101년, 진실을 밝히기 위한 증언의 목소리와 기록을 되짚는 다큐멘터리다. 특히 간토대학살을 다룬 첫 다큐멘터리 영화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깊다.
     
    1923년 9월 1일 일본 관동 지방에서 발생한 대지진으로 10만 5천 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현재 일본에서는 간토대학살의 희생자 수는 233명의 그친다고 주장하지만, 수많은 당시 증거에 따르면 실제 조선인 학살 피해자 수는 무려 6661명에 달한다.
     
    학살의 주체였던 일본 정부는 무려 101년 동안 정부 내에서 사실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기록을 찾을 수 없다는 사유로 진실을 부정하고 은폐하고 있다. 이는 일본의 극우 세력의 혐한 주장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관동 대지진 발생 직후 치안 유지를 빌미로 '긴급 칙령'의 '천황의 승인'을 받은 계엄령이 다음날 도쿄와 인근 지역에 포고됐다. 그로부터 약 10일간 조선인들이 계엄령 아래 무차별 집단 학살당하기 시작한다.
     
    이에 대해 일조협회 사이타마현연합회 회장인 세키하라 마사히로는 "계엄령이라면 대일본제국헌법 아래에서 천황의 '비상대권'의 하나라서 천황의 권한으로 일본의 군대는 '천황의 군대'다. 내란과 폭동에 대해 천황의 군대를 출동시켰다'는 것으로 최종책임이 천황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라고 전했다.
     
    당시 내각은 추밀원의 재가 없이 직접 천황에게 말해 승인을 받았다고 한다. 정식적인 절차 없이 진행된 것으로 군대의 행동(계엄령에 따른 임무 수행)이 모두 공인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지진이 일어나서 계엄령을 선포한 것이 아니라 조선인이 폭동을 일으켰기 때문에 선포됐다.
     
    또한 조선인 학살 추모 가나가와 실행위원회 대표인 야마모토 스미코는 "경찰관이 마치 군대와 같이 '적은 조선인이다'라고 해 그 많은 사람을 죽일 수 있었던 것"이라며 "당시 조선인 학살 사건은 일본 열도에서 마치 전쟁이 일어난 것처럼 만든 뒤 감행한 그야말로 제노사이드(집단학살, 어떤 종족 또는 종교적 집단의 절멸을 목적으로 하여 그 구성원의 살해·신체적·정신적 박해 등을 행하는 것)였다. 코리안 제노사이드"라고 증언하기도 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