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6일 발생한 금산 산불 현장. 충남도 제공영남지역의 대형 산불이 하루빨리 진화되길 모두가 염원하는 중에도 한편에선 여전히 산불의 원인이 되는 쓰레기 소각 행위를 하다 산불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 26일 오전 9시쯤 충남 금산군에서 산불이 나 40여 분 만에 꺼졌다.
원인은 쓰레기 소각. 쓰레기를 태우던 중 불씨가 바람을 타고 날아가 불을 옮기는 비화 현상으로 불이 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경북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고 필사적인 탈출과 진화 노력이 이어지던 그때, 여전히 쓰레기 소각 행위가 이뤄졌던 것이다.
앞서 지난 8일 충남 예산군의 야산에서 발생한 불도 쓰레기를 소각하던 중 불씨가 옮겨 붙은 것으로 조사됐다.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발생한 산불과 들불 등 임야화재는 전국적으로 7191건이 발생했는데 4건 중 1건(25.8%)이 바로 쓰레기를 태우다 발생한 것이었고 특히 3월에 집중된 것으로도 나타났다.
매년 산림 인접지 주민들에게 쓰레기를 태우지 말라는 당부와 단속이 반복되고, 영농폐기물을 태우는 대신 잘게 부수는 파쇄를 유도하는 정책도 실시되고 있지만 소각 행위를 근절하진 못하는 실정이다.
이번 산불로 쓰레기 소각 행위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단속과 처벌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지만, 일부에선 농촌지역에 부족한 폐기물 수거와 처리 시스템에 대한 고민이 동반돼야 한다는 반응도 나온다.
2020년 농림축산식품부가 발간한 '농촌지역 영농부산물 및 폐기물 소각에 대한 실태조사 보고서'를 보면, 조사에 응답한 농업인 724명의 77.8%가 영농부산물을 소각한 경험이 있었다.
가구당 연평균 영농부산물 소각량은 24.5㎏에 달했는데, 소각한 이유로는 '버리기 힘들어서'라는 응답률이 가장 높았다.
수십 년간 관행처럼 이뤄진 행위에 대한 인식을 어떻게 바꿔나갈 수 있을지도 과제로 꼽힌다.
농촌지역이 많은데다 2년 전 대형 산불이 발생했던 충남에서는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고 있다.
5개 시·군에 배치된 임차 헬기 5대가 산불 감시와 초동 진화 역할을 하고 1600여 명의 인력과 200여 대의 진화차를 비롯한 장비도 편성·배치 및 확보된 상태다.
충남도와 각 시·군은 농업잔재물 사전 제거와 파쇄 지원 또한 이어가며 예방 대책을 고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