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나이 먹은 고용시장…50대 이상이 20~30대보다 많아



경제 일반

    나이 먹은 고용시장…50대 이상이 20~30대보다 많아

    • 2014-07-23 06:43

    취업자 100명 중 37명이 50세 이상…인구 변화 영향

     

    고용시장이 너무 빠르게 늙어가고 있다.

    급기야 일하는 50세 이상이 20~30대보다 많아진 상황에 이르렀다.

    올해 1분기에 50대 취업자 수가 30대를 앞지르기 무섭게 2분기에는 환갑을 넘긴 근로인구가 20대를 추월한 결과다.

    전문가들은 인구구조 변화를 그 배경으로 지목한다.

    아울러 노령화 사회에 들어서면서 생계형 고령 근로자가 늘고 청년층의 일자리 구하기는 여전히 쉽지 않다는 점도 그 이유로 꼽힌다.

    ◇ 60대가 20대 앞지르고 50대는 30대 추월

    23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분기 60세 이상 취업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6%(19만2천명) 늘어난 364만3천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0.5%(1만7천명) 증가한 361만4천명으로 집계된 20대보다 2만9천명 많은 것이다.

    환갑을 넘긴 취업자가 손주뻘일 수도 있는 20대보다 많아진 것은 고용동향조사를 시작한 1963년 이래 처음이다.

    그 직전인 1분기에는 50대 취업자가 30대를 처음 추월했다.

    1분기 50대 취업자는 568만4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0%(32만3천명) 불어나며, 567만2천명으로 0.1%(6천명) 감소한 30대보다 많아졌고 2분기에는 격차를 키웠다.

    이런 흐름은 2012년에 처음으로 남자에서 60세 이상 취업자가 20대를 앞지르고 여자에서 50대가 30대보다 많아진 데 이어 남녀 전체로 확대된 것이다.

    이에 따라 50세 이상 취업자 수는 20~30대를 처음으로 앞질렀다. 2분기 50세 이상 취업자는 952만1천명으로 20~30대의 933만5천명을 웃돈 것이다.

    전체 취업자에서 연령대별 비중은 고령화 쪽에 무게가 쏠렸다.

    지난 2분기에는 40대(26.00%), 50대(22.79%), 30대(22.18%), 60세 이상(14.13%), 20대(14.01%) 순으로, 지난해 연간 기준의 40대(26.50%), 30대(22.88%), 50대(22.36%), 20대(14.24%), 60세이상(13.12%) 순에서 달라진 것이다.

    10년 전인 2003년의 30대(27.94%), 40대(27.24%). 20대(19.58%), 50대(14.34%), 60세이상(9.68%), 30년 전인 1983년의 20대(27.49%), 30대(25.49%), 40대(23.01%), 50대(13.35%), 60세 이상(5.67%) 순과 비교하면 천양지차다.

    50세 이상 취업자 비중은 1965년 15.91%이던 것이 1987년(20.23%)과 2009년(30.58%) 각각 20%, 30% 선을 넘어서고선 지난 2분기(36.92%) 37%에 육박했다.

    반면 20~30대 취업자는 1965년 50.33%였으나 등락을 거듭하다 2001년(49.25%)과 2011년(38.93%)에 각각 40%대와 30%대로 내려앉았고 2분기에는 36.19%까지 빠졌다.

    ◇ 인구구조 고령화에 노후대비·청년취업난 겹쳐

    이런 흐름은 인구구조 변화 때문이다.

    저출산에 따라 젊은층 인구가 대체로 감소세인 반면 50세 이상 인구는 늘어난데 원인이 있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15세 이상 인구 중 연령대별 비중은 1983년만 해도 20대(26.75%)가 연도별 고점을 찍으면서 30대(19.87%), 40대(16.81%), 50대(11.23%), 60세 이상(11.14%) 순이었지만 2003년에는 30대, 40대, 20대, 60세 이상, 50대 순으로 변화했다.

    지난해에는 60세 이상(20.37%)이 처음으로 20%를 넘어서며 가장 많아지고 40대(20.12%), 30대(18.62%), 50대(18.21%), 20대(14.93%) 순이었고, 올해 2분기에는 그 틀을 유지하는 가운데 50대(18.50%)가 30대(18.23%)보다 많아졌다.

    박진희 한국고용정보원 고용정보분석센터장은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른 영향이 가장 크다"면서 특히 50대 취업자 급증세에 대해선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의 '코호트(cohort·세대) 효과'를 주목했다.

    베이비부머는 1970년대 중반 이후 대기업이 출현하던 시기에 노동시장에 진입하고선 고도성장기는 물론 외환위기까지 겪으며 경제활동 의지가 매우 강한 특성을 지녔다고 전문가들은 본다. 고학력자, 임금근로자, 숙련노동자가 많은 특징도 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