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81.8% "노인 존경받지 못한다"…노후보장의 위기



인권/복지

    81.8% "노인 존경받지 못한다"…노후보장의 위기

    정부와 가족이 노후보장 상호보완…정서적 지지는 지역커뮤니티 몫

    자료사진 (스마트이미지 제공)

     

    전통적인 가족의 해체가 진행되면서 노후보장의 위기가 오고 있으며 정부가 공적 노후보장체계를 확충해 나가되 노부모를 부양하는 가족의 순기능은 유지되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 점차 약화되는 전통적인 가족의 정서적 지지 기능은 지역 커뮤니티를 통해 보완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 노인부양...변화하는 행태와 의식

    한국개발연구원(KDI) 김희삼 연구위원은 30일, '노후보장을 위한 가족, 정부, 사회의 역할'이라는 내용의 보고서를 통해, 먼저 우리 사회의 노부모 부양행태와 부양의식이 변화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제 6차 세계가치관조사(2010~2014)에서 한국은 "노인, 요즘 별로 존경받지 못한다"는 설문에 대해 찬성 응답이 81.8%나 차지해 루마니아(85.3%)에 이어 조사대상 국가 51개 가운데 2위로 나타났다. 전체 국가의 평균은 58.9%로 우리나라는 평균을 크게 웃돌았다.

    실제 부양행태에서도 65세 이상 노인 가구 중 자녀동거가구의 비율은 1990년 75.3%에서 2010년 30.8%로 급감했다. 반면, 노인 1인 가구의 비율은 10.6%에서 34.3%로 3배 이상 상승했다.

    또, 부모의 생활비를 주로 제공하는 사람이 장남이라는 응답은 1998년 27%에서 2014년 10.1%로 줄고, 모든 자녀의 부양분담이 9.6%에서 27.7%로 늘어났다. 부모 스스로 해결한다는 응답도 1998년에는 41.6%에서 지난해에는 50.2%로 증가했다.

    이에따라 노후에 대한 책임을 누가 져야하는가에 대한 물음에 대해서도 가족이 노후 생계를 돌봐야 한다는 의견은 2002년 70.7%에서 지난해 31.7%로 감소했다. 대신 가족과 정부, 사회의 공동책임이라는 응답은 18.2%에서 47.3%로 늘었다.

    ◇ 증세 통한 노인복지는 청년층 반대 강해

    그러나 증세를 통해 모든 노인의 기초생활을 보장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60대가 44.6%, 50대가 35.8%의 찬성률을 보인 반면 20대와 30대는 반대가 각각 34.6%와 37.1%로 우세했다.

    김 연구위원은 "증세를 통한 보편적 노인기초생활 보장에 대해 젊은 층에서는 지지보다 반대가 많아 중고령층을 제외한 유권자와 납세자들을 설득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국개발연구원 제공/ 노컷뉴스

     

    그러면서 보고서는 노후의 삶의 질을 위한 가족과 정부, 사회의 협업을 강조했다.

    먼저 정부가 나서서 지나치게 공적부양에 나서는 것도 위험하다고 경계했다. 보고서는 "정부의 노인부양 역할 강화는 가족의 기능약화를 가속화 해, 정부가 제공하는 노인복지 수요를 더욱 높일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급속한 고령화와 맞물린 재정부담의 증가 외에도 노부모와 자녀간 유대감 약화, 노후대비 저축에 덜 노력하게 되는 도덕적 해이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 노후보장 위해 가족, 정부, 사회가 협업해야

    따라서 정부와 가족이 적절히 부담을 나눠지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빈곤노인에 대한 기초생활보장제에서 부양의무자 기준을 철폐하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고 봤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